카이스트, 차세대소형위성2호 2년 임무 완수…북극 기후변화 발견

  • 임무 수행 지난 현재도 안정적 관측 이어가

KAIST 지상국에서 찍은 우주연구원 차세대소형위성2호 연구진 사진KAIST
KAIST 지상국에서 찍은 우주연구원 차세대소형위성2호 연구진 [사진=KAIST]

지난 2023년 누리호 3차로 발사한 차세대소형위성2호(위성2호)가 핵심 임무인 국산 영상레이다(SAR) 기술검증과 전천후 지구관측 등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수했다. 

25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은 이같이 밝히며 위성의 임무 수행이 지난 현재도 안정적으로 관측 임무를 이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위성2호에 탑재한 SAR 시스템은 카이스트 우주연구원이 국내 최초로 설계, 제작, 지상 시험·평가를 거쳐 국산화한 기술이다. 이날자로 2년간 우주 궤도상 기술검증 임무를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카이스트 측은 "SAR 시스템이 100kg 급 소형위성인 위성2호에 탑재돼 관측임무를 완수했다는 점은 우주용 SAR 시스템 소형·경량화 기술 확보와 국내 위성기술 경쟁력 강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카이스트에 따르면 개발한 SAR은 전자파를 이용하는 능동 센서로 주야간·기상조건에 관계없이 전천후 영상 획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한반도처럼 강우와 구름이 빈번한 지역 감시에 유용하다.

위성 발사 이후 위성2호는 하루 평균 3~4회 영상 촬영을 수행했다. 현재까지 1200회 이상 지구관측을 완료했다.
 
[사진=KAIST]
캐나다 북극지역의 밀른 빙붕 [사진=KAIST]

지난 2024년 3월부터는 극지연구소와 협력해 북극 빙권변화분석과 산림 영역 변화탐지를 촬영하며 수행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에 최근 극지연구소는 위성2호와 유럽 우주청(ESA)의 센티넬-1호(Sentinel-1)의 관측 데이터를 융합해 캐나다 밀른(Milne) 빙붕(Ice Shelf)에서 지난 2021년부터 2025년 사이 빙붕 뒤편 얼음 호수 면적이 15㎢나 증가한 사실을 포착하며 북극의 기후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는 신호를 감지했다. 빙붕이란 육지에서 흐른 빙하가 바다로 흘러가면서 바다 위에 떠 있는 거대한 얼음층을 일컫는다.

한재흥 우주연구원 원장은 "위성2호는 국산화 개발 성공에 그치지 않고 실제 환경 분석과 국가 연구에 직접 활용해 성과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이번 성과는 카이스트 앞으로 우주 기술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에 더 큰 가능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신호"라며 "앞으로 연구에 더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