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연휴에도 좀처럼 살아나지 않은 소비…신용카드 이용액 12.7%↓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서울 중구 남대문시장 모습. [사진=연합뉴스]
어린이날 '황금 연휴'에도 민간 소비는 좀처럼 살아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통계청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지난 3~9일 국내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1년 전보다 12.7%, 전주보다 18.4% 각각 감소했다. 3~6일 주말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등 휴일이 길었던 만큼 국내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온·오프라인 지출이 동시에 줄었다. 지난 3~9일 온라인 지출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5.1%, 전주 대비 18.9% 줄었다. 같은 기간 가맹점 카드 매출액은 1년 전보다 13.4%, 전주보다 22.7% 각각 감소했다.

연휴 국내 소비 진작 효과가 사실상 사라진 만큼 한국은행의 성장 전망이 낮아지고 기준금리가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은은 오는 29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와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한다.

한은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1.5% 성장할 것으로 짚었다. 이를 대폭 낮출 가능성이 높아진 것이다. 기준금리도 연 2.75%에서 2.50%로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 6일 기자간담회에서 "데이터를 보고 금리를 결정하겠다"면서 "데이터 중에는 이번 연휴에 소비가 얼마나 늘지가 최대 관심사"라고 말했다.

국내 소비 침체는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1분기 민간 소비는 오락 문화, 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0.1% 감소했다. 민간 소비의 성장 기여도는 지난해 4분기 0.1%포인트에서 올해 1분기 0.0%포인트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6일 최근 경제 동향을 통해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14일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0.8%로 낮추면서 "정국 불안에 따른 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가시적인 내수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또 "소비자 심리 위축으로 숙박, 음식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소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