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통계청 나우캐스트에 따르면 지난 3~9일 국내 신용카드 이용 금액은 1년 전보다 12.7%, 전주보다 18.4% 각각 감소했다. 3~6일 주말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등 휴일이 길었던 만큼 국내 소비가 줄어든 것으로 해석된다.
온·오프라인 지출이 동시에 줄었다. 지난 3~9일 온라인 지출 금액은 전년 동기 대비 5.1%, 전주 대비 18.9% 줄었다. 같은 기간 가맹점 카드 매출액은 1년 전보다 13.4%, 전주보다 22.7% 각각 감소했다.
연휴 국내 소비 진작 효과가 사실상 사라진 만큼 한국은행의 성장 전망이 낮아지고 기준금리가 인하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은은 오는 29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와 성장률 전망치를 제시한다.
국내 소비 침체는 구조적인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올해 1분기 민간 소비는 오락 문화, 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0.1% 감소했다. 민간 소비의 성장 기여도는 지난해 4분기 0.1%포인트에서 올해 1분기 0.0%포인트로 떨어졌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6일 최근 경제 동향을 통해 "소비, 건설투자 등 내수 회복이 지연되고 취약부문 중심의 고용 애로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국 관세부과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로 수출 둔화 등 경기 하방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지난 14일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6%에서 0.8%로 낮추면서 "정국 불안에 따른 심리 위축이 지속되고 대외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가시적인 내수 회복세가 나타나지 않는 모습"이라고 짚었다. 또 "소비자 심리 위축으로 숙박, 음식 등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 소비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