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일 플로리다주 방문을 마치고 워싱턴 DC로 돌아가는 전용기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유예 연장은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과 관련해서는 "합의를 할 수 있을지 확신이 서지 않는다"며 "30%, 35%, 또는 우리가 정하는 수준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9일 일본에 24%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가, 같은 날 13시간 만에 이를 포함한 57개 경제주체(56개국+EU)에 대해 90일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이 유예 조치는 오는 8일 만료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에도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일본이 자국의 쌀 부족에도 미국산 쌀 수입을 꺼린다며 일본에 무역 관련 서한을 보내겠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유예 기간 동안 한국, 일본 등 각국과 관세율, 무역균형,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놓고 협상을 벌여 왔다. 하지만 최근 일부 국가들의 소극적 태도를 문제 삼으며, 유예 종료 후 일방적으로 상호관세율을 서한으로 통보하겠다고 경고해왔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와는 무역 합의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그는 내년 5월 임기가 끝나는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의 후임 후보로 2~3명을 검토 중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25일에도 파월 의장 후임으로 3~4명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