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병대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과 관련해 주요 수사 대상인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이 2일 오후 순직해병특검에 출석했다. 수사 개시 이후 첫 소환조사로, 임 전 사단장은 업무상 과실치사 등 혐의를 받는 피의자 신분이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내며 “사단장으로서 도의적 책임은 통감하지만, 수중수색을 지시하지 않은 저로선 법적 책임은 없는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김건희 여사 측근을 통한 ‘구명 로비’ 의혹에 대해선 “이종호씨와 일면식도 없고 김건희 여사와도 모르는 사이다. 전화라도 한 통 했다면 억울하지는 않겠다”고 말했다. 또 사건 당시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지시를 전달받았다는 이른바 ‘VIP 격노설’에 대해선 “언론을 통해 들었을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임 전 사단장은 이날 조사에 앞서 스마트폰을 제출하겠다고 밝혔으나 비밀번호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했다.
임 전 사단장은 지난해 7월 19일 경북 예천군 수해 현장에서 순직한 채 상병의 지휘관으로, 안전 장비 없이 무리한 수색을 지시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앞서 경북경찰청은 수사 결과 과실 책임을 인정하기 어렵다며 불송치 결정을 내렸으나, 유족의 이의 신청으로 사건은 대구지검으로 이첩돼 재수사가 진행돼 왔다.
올해 2월 예편한 임 전 사단장을 상대로 특검은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는 물론, 사고 직후 허위 보고 의혹과 김 여사 측근을 통한 로비 정황 등에 대해 조사에 착수했다. 조사는 대구지검에서 해당 사건을 수사했던 임상규 검사가 담당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