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행 1년 밸류업 프로그램…코스닥 참여율은 '미지근'

  • 코스피 시총 절반 밸류업 공시

  • 코스닥은 36곳 시총 4.5% 불과

자료한국거래소
[자료=한국거래소]
시행 1년이 넘은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코스닥 상장사 참여율이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류업 공시(기업가치 제고 계획)'를 실시한 코스피 상장사는 시가총액의 50%를 넘어섰지만, 코스닥 상장사의 비중은 한 자릿수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2일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한 '월간 기업가치 제고 현황'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한 코스닥 상장사는 36개사로, 코스닥 전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5%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본공시를 11개사, 예고공시를 6개사가 실시해 합산 비중 2%에 그쳤던 것에 이어 부진한 참여율이 이어지고 있다. 

공시기업의 시가총액 비중은 전체 시장의 43.9%(156사)로 지난해 말 35.6%(102사)에 비해 8.4%포인트 상승했으나 실제로는 대형 상장사·코스피 상장사에 치중돼 있었다. 올해 6월 기준 코스피 상장사는 119개사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해 시가총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절반을 넘어선 50.2%를 기록했다. 

기업규모별 공시 현황을 보면 코스피와 코스닥 공시기업 156사 중 시가총액 1조원 이상 대형 상장사 비중이 62.2%(97사)로 가장 높았다. 시가총액 1조 미만~1000억원 이상인 상장사 비중은 32.7%(51사)였고, 1000억원 미만 소형 상장사의 비중은 5.1%(8사)로 미미했다. 

코스닥 상장사의 참여 저조는 코스피 대비 코스닥 지수 상승률이 부진한 것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해석된다. 연초 대비 6월 말까지 코스피는 28.01%, 코스닥은 15.23%의 상승률을 보였다. 같은 기간 코스피 밸류업 지수는 30.52% 상승해 지수 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익률을 보였다. 

하지만 기업가치 제고 계획 공시기업의 지수 수익률을 비교했을 때 코스피 기업들의 상승률은 35.2%를 기록해 코스피 지수 대비 7.2%포인트 상회하는 성과를 올린 반면 코스닥 기업들의 상승률은 16.3%에 그쳐 지수 대비 1.1%포인트가량 상회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밸류업 참여가 코스닥 및 중소형사까지 확장될 경우 더 큰 주가 부양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주주환원은 확대되는 추세다. 상반기 중 자사주 소각 규모가 15조5000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소각 규모인 13조9000억원을 넘어섰고 현금배당 결정 금액 역시 올해 상반기 37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34조2000억원 대비 10% 증가했다. 

이상호 자본시장연구원 연구위원은 "중소형사 중에도 주주환원 제고 여력이 있는 기업들이 상당수 있는 만큼 밸류업 공시가 확산되면서 시장의 압력이 커질 경우 참여를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