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글을 올려 "또 럼 베트남 공산당 서기장과 대화한 뒤 베트남과 방금 무역 합의를 하게 돼 영광"이라고 전했다.
이번 합의에 따라 미국은 베트남산 모든 제품에 대해 20% 관세를 부과하고, 제3국을 경유해 들어오는 환적 물량에는 40%의 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이는 트럼프 행정부가 지난 4월 베트남에 부과하기로 했던 46%의 상호관세율을 크게 낮춘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그 대가로 베트남은 미국이 완전히 시장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해본 적 없는 조치를 취할 것"이라며 "결국 베트남은 미국에 시장을 개방해 미국이 무관세로 제품을 판매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아시아 국가와 무역 협상에서 합의를 이끈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미국은 오는 8일 종료되는 상호관세 유예 시점을 앞두고 각국과 관세율, 무역 불균형, 비관세 장벽 해소 등을 의제로 협상을 이어왔으며, 지난달에는 영국과도 최종 합의에 도달했다.
미국은 지난 4월 한국과 일본을 포함해 57개 경제주체(56개국+EU)에 차등화된 상호관세를 발효했다가 13시간 만에 90일 유예(중국 제외)를 결정했고, 이 유예 기간은 곧 종료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