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태평양 고기압이 정체전선을 북서쪽으로 밀어내면서 제주도와 남부지방에 장마가 종료됐다고 기상청이 3일 밝혔다.
기상청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제주도는 지난달 26일, 남부지방은 이달 1일 정체전선 영향에서 벗어남에 따라 장마가 종료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래 가장 빠르게 장마가 종료됐다. 이전 기록은 1994년 7월 1일이다.
남부지방에서 역대 가장 이른 장마 종료일은 1973년 6월 30일이며 이번이 두 번째로 이른 종료일로 기록됐다. 중부지방은 북한을 지나는 정체전선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장마가 종료됐다고 보기에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북쪽 찬 공기가 일시적으로 남하하면서 정체전선이 중부지방에 영향을 미쳐 4일과 6일 밤부터 7일까지 중부지방에는 비가 올 수 있다"며 "북태평양 고기압권 내 약한 정체전선 영향이라 강수량은 많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아울러 분리된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완전히 덮고 있는 데 더해 고온다습한 남서류가 유입하면서 폭염과 열대야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기상청은 "이번 주는 폭염이 지속되고, 다음 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폭염 특보권에 들 것으로 보이나 변동성은 크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이날 정례브리핑에서 제주도는 지난달 26일, 남부지방은 이달 1일 정체전선 영향에서 벗어남에 따라 장마가 종료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제주도에서는 기상관측망이 전국에 확충돼 각종 기상기록 기준이 되는 1973년 이래 가장 빠르게 장마가 종료됐다. 이전 기록은 1994년 7월 1일이다.
남부지방에서 역대 가장 이른 장마 종료일은 1973년 6월 30일이며 이번이 두 번째로 이른 종료일로 기록됐다. 중부지방은 북한을 지나는 정체전선에 일시적으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어 장마가 종료됐다고 보기에는 아직 불확실성이 있다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아울러 분리된 북태평양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완전히 덮고 있는 데 더해 고온다습한 남서류가 유입하면서 폭염과 열대야는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기상청은 전망했다. 기상청은 "이번 주는 폭염이 지속되고, 다음 주까지 전국 대부분 지역이 폭염 특보권에 들 것으로 보이나 변동성은 크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