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경상수지 101.4억달러…美 관세에도 25개월 연속 흑자

  • 5월 경상수지 동월 기준 역대 3번째

  • 美관세로 수출 -2.8%…4개월 만에 감소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국 관세 정책 영향이 본격화됐지만 에너지 가격 하락에 따른 수입 감소와 배당 소득 증가에 힘입어 우리나라 지난 5월 경상수지 흑자가 100억 달러를 넘어섰다. 

한국은행이 4일 발표한 국제수지 잠정 통계에 따르면 5월 경상수지는 101억4000만 달러(약 13조8300억원) 흑자로 집계됐다. 25개월째 흑자 기록이다. 흑자 규모는 직전 4월(57억 달러)이나 지난해 5월(90억9000만 달러)을 웃돌았다. 역대 5월 기준으로는 2021년(113억1000만 달러)과 2016년(104억9000만 달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흑자 폭이다.

올 들어 5월까지 누적 경상수지 흑자(351억1000만 달러)는 전년 같은 기간(270억6000만 달러)보다 80억5000만 달러나 많다. 항목별로는 5월 상품수지 흑자(106억6000만 달러)가 전월(89억9000만 달러)보다 17억 달러 가까이 불었다. 지난해 5월(88억2000만 달러)보다도 18억 달러 이상 많다.

수출(569억3000만 달러)은 반도체 등 IT(정보기술) 품목의 호조에도 불구하고 자동차·철강·석유제품 등 비IT 품목의 감소로 작년 5월보다 2.8% 줄었다. 4개월 만의 감소 전환으로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통관 기준으로 반도체(20.6%)·의약품(12.2%)·컴퓨터주변기기(5.3%) 등이 늘었으나 석유제품(-20%)·철강(-9.6%)·승용차(-5.6%)는 줄었다. 지역별로는 동남아(8.2%)·EU(4.0%)에서 호조를 보인 반면 일본(-9.0%)·미국(-8.1%)·중국(-8.4%)에서 고전했다.

수입(462억7000만 달러)은 7.2% 감소했다. 에너지 가격 하락으로 석탄(-31.6%)·석유제품(-30.0%)·원유(-14.0%) 등 원자재 수입이 13.7% 줄었다. 그러나 수송장비(46.8%)·반도체제조장비(26.1%)·정보통신기기(16.5%) 등 자본재는 4.9% 늘었다.

서비스수지는 22억8000만 달러 적자였다. 적자 규모가 전월(-28억3000만 달러)과 비교해 줄었지만 지난해 같은 달(-12억2000만 달러)보다는 커졌다. 서비스수지 가운데 여행수지(-9억5000만 달러)의 경우 5월 연휴 중 해외 여행객 증가로 적자가 4월(-5억 달러)보다 늘었다.

본원소득수지는 4월 1억9000만 달러 적자에서 5월 21억5000만 달러 흑자로 돌아섰다. 4월 외국인 대상 배당 지급이 집중되는 계절적 요인이 사라지면서 대폭 늘었다.

금융계정 순자산(자산-부채)은 5월 중 67억1000만 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의 경우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41억3000만 달러, 외국인의 국내 투자가 3억2000만 달러 각각 늘었다. 증권투자에서는 내국인의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100억9000만 달러 증가했고 외국인의 국내 투자 역시 채권 위주로 122억7000만 달러 불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