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한 내란·외환 혐의를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5일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두 번째 소환조사에 착수했다. 특검은 지난 1차 조사보다 구체화된 혐의 사실을 바탕으로 전방위적 추궁에 나설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9시 서울 서초동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검은색 정장을 입은 채 현관을 통해 청사에 들어섰으며, 지난 출석과 마찬가지로 취재진 질문에는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특검팀은 이날 조사를 통해 윤 전 대통령이 직접 지시하거나 관여한 것으로 의심되는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비화폰(암호화 전화기) 기록 삭제 지시 의혹, 비상계엄 선포 전후 국무회의 관련 직권남용 혐의, 북한 무인기 작전 지시 등 외환 혐의 등 네 가지 축을 중심으로 사실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다.
체포 방해 및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의혹
조사 핵심 중 하나는 지난 1월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윤 전 대통령을 상대로 체포영장을 집행하려 했던 시도와 그 저지 과정이다. 당시 경찰과 공수처 수사관이 윤 전 대통령 자택 근처에서 체포영장 집행을 시도했으나 경호처 직원들의 제지로 무산됐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이 과정에서 직접 경호처에 제지 지시를 내렸는지, 혹은 체포를 방해한 경위에 개입했는지를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국무회의 관련 직권남용 의혹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 전후 국무회의에서 국무위원들의 심의·의결권을 제한하거나 특정 인사만 소집했다는 의혹도 이날 조사의 주요 항목이다.특검은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이주호 교육부 장관,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등 참석자와 불참자 모두를 소환해 당시 상황을 조사했다. 이 과정에서 국무회의를 가장한 비공식 회동이었다는 진술과, 사후에 작성된 계엄 선포문에 서명한 사실이 뒤늦게 드러난 정황도 수사 대상이다.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 김정환 전 수행실장 등 국무위원 호출 실무를 담당한 전직 대통령실 관계자들도 소환된 바 있다. 특검은 이들의 진술을 통해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의 형식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무위원 구성과 문서 절차를 사후 조작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있다.
북한 무인기 작전 지시 관련 외환 혐의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명분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과의 갈등 상황을 조성하려 했다는 의혹, 특히 평양 무인기 침투 지시 여부를 외환죄 수사 차원에서 들여다보고 있다.앞서 군 안팎에서는 윤 전 대통령이 합참이나 국방부가 아닌 드론작전사령부에 직접 지시를 내렸다는 증언이 제기됐다. 특검은 해당 무인기 작전과 관련한 자료 확보에 주력했으며,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소속 관계자를 불러 무인기 납품 및 작전 기록을 조사했다. 비행로그데이터 확보를 위한 드론작전사령부 압수수색 가능성도 거론된다.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의 진술 내용을 토대로 추가 소환 조사 또는 구속영장 청구 여부를 검토할 방침이다. 윤 전 대통령 측은 적극적으로 진술에 임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지난 1차 조사에서 특정 조사관에 대한 반발로 한때 조사를 거부한 전례도 있어 조사 진행 과정에서 또 다른 신경전이 벌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