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과 일본 등 일부 국가에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화하면서 글로벌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7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일제히 하락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422.17포인트(0.94%) 하락한 4만4406.36을 기록했다. 스탠다드 앤드 푸어스(S&P)500 지수는 49.37포인트(0.79%) 하락한 6229.98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88.59포인트(0.92%)하락한 2만412.52를 각각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한국과 일본 등 주요 교역국에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서한을 발송하고, 이를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공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이들 국가에 관세 및 비관세 무역장벽을 낮추라고 압박했다. 아울러 해당 관세는 오는 8월 1일부터 부과하겠다고 밝히면서 얼마 간의 협상 기간을 시사했다.
시장 불안도 즉각 반영됐다. 시티인덱스와 포렉스닷컴의 파와드 라작자다 시장 분석가는 “투자자들은 헤드라인 리스크(뉴스에 따라 시장이 급변하는 위험)에 주의해야 한다”며 “막판에 극적인 합의가 나올 가능성도 높지만, 동시에 무역 긴장이 다시 고조될 가능성도 크다”고 진단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서는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 ‘아이셰어즈 MSCI 코리아’(EWY)가 전장 대비 3.62% 급락했다. 도요타자동차와 혼다자동차는 각각 4.02%, 3.86% 하락했다.
아젠트캐피털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에 “시장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는 낙관적인 상황에서 관세 논의는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가 관세를 논의할수록 시장은 덜 행복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맞서 신당 창당을 선언한 여파로 테슬라도 이날 6.79% 급락하며 시장 전반에 부담을 키웠다. 테슬라 주가는 최근 머스크가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할 때마다 급락세를 반복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