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8일 공개한 '2025년 1분기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가계(개인사업자 포함) 및 비영리단체의 1분기 순자금 운용액은 92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62조6000억원)보다 30조원 이상 늘었고 2009년 통계 편제 이후 최고치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 운용액에서 자금 조달액을 뺀 값이다. 보통 가계는 순자금 운용액이 양(+·순운용)인 상태에서 여윳돈을 예금이나 투자 등을 통해 순자금 운용액이 대체로 음(-·순조달)의 상태인 기업·정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김용현 한은 자금순환팀장은 "연초 상여금 유입 등으로 가계 소득이 증가한 가운데 아파트 신규 입주 물량 감소, 소비 둔화 등으로 여유 자금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가계가 1분기 조달한 자금은 모두 8조2000억원으로 전 분기(8조6000억원)보다 줄었다. 증권·카드사 등 기타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이 3조원 감소한 영향이 컸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분기 말 89.4%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89.6%)보다 0.2%포인트 떨어져 여섯 분기 연속 하락세다.
김 팀장은 "올해 2분기는 서울 등 수도권 주택거래가 늘어 가계부채 증가 폭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소폭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비금융 법인기업은 1분기 순자금 조달 규모가 18조7000억원으로 전 분기(16조2000억원)와 비교해 2조5000억원 늘었다.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 등 경제 여건 악화로 투자 둔화가 이어졌지만, 상여금 지급 등 기업 운전자금 수요가 증가했기 때문이다.
정부 지출이 수입보다 더 크게 늘면서 일반정부의 순자금 조달액도 전분기 3조9000억원에서 40조2000억원으로 급증했다.
김 팀장은 "통상 1분기는 정부가 세입보다는 미리 자금 조달을 통한 지출에 들어가기 때문에 조달이 늘어나는 측면이 있다"면서 "비록 정부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전년 동기인 지난해 1분기 대비 줄었지만 3분기 추가경정예산(추경)안 집행으로 향후 정부 부채가 늘어날 수 있으며 자금 운용 조달 추이는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