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3 비상계엄 사태 옹호와 5·18 민주화운동 비하로 논란이 된 강준욱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을 두고 더불어민주당 내에서도 반발이 커지고 있다. 당권주자인 정청래 의원과 박찬대 의원은 한 목소리로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정 의원은 22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강 비서관 관련 기사 제목을 인용한 후 "('5·18은 폭도라는 말도 모자라'라는 말은) 이건 용납할 수 없다"며 "대통령께 누를 끼치지말고 스스로 결단하라. 사퇴하라"고 압박했다.
박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인사는 대통령의 권한이지만 '내란 옹호자'만은 안 된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박 의원은 "강 비서관이 과거 책과 발언을 통해 보인 인식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며 "윤석열-김건희 내란 카르텔의 논리와 전혀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강준욱 비서관의 결단을 촉구한다"며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진심이 훼손되지 않도록 책임 있는 선택을 기대한다"고 했다.
다만 민주당 지도부는 강 비서관을 임명한 대통령의 의중을 이해한다는 듯한 발언을 내놓았다.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국민들의 80%는 (강 비서관) 인식에 동의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당내에서도 의원들의 반발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이 대통령께서는 강 비서관처럼 왜곡된 인식을 하는 20%의 국민도 포기할 수 없다고 보는 것 같다"고 주장했다.
문 수석부대표는 "(이 대통령께서는) 20%의 국민들과 함께 가려면 20%에 속해 있는 사람들을 설득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옳고 그름의 문제로 접근하면 당연히 사퇴시켜야 하지만 그보다는 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식으로 접근하면 이해되는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다른 진영의 사람의 생각을 수용한다는 취지에서는 이해가 가지만 거기에도 선이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진행자의 질문에는 "사실 (20%의) 사람들을 설득하는 건 저희로서는 안 되는 일이니 그 집단에 속해 있는 사람들이 설득한다고 하면 수용성이 높을 수 있다"고 답했다.
한편 강 비서관은 지난 3월 출간한 자신의 책 <야만의 민주주의>에서 "계엄 선포를 내란으로 몰아가는 행위는 선동"이라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했다.
또 "사법부에 저항해 유리창을 깨고 법원에 난입한 것이 폭도이고 전원 구속될 일이라면, 5·18은 버스로 공권력을 뭉개고 총 들고 싸운 일이므로 폭도라는 말로도 모자란다"며 서울서부지방법원 난입을 옹호하고 5·18 민주화운동을 비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