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엔솔, 美 보조금 제외하고도 6분기 만에 흑자 전환…"북미 생산 비중 확대"

  • 전년 동기 대비 매출 9.7%↓, 영업이익 152.0%↑

LG엔솔 분기별 실적 그래프 사진LG엔솔 제공
LG엔솔 분기별 실적 그래프 [사진=LG엔솔]

LG에너지솔루션이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세액공제를 제외하고도 6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북미 생산 비중 확대와 고수익 제품 중심 전략이 성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LG에너지솔루션은 25일 2025년 2분기 연결 기준 매출 5조5654억원, 영업이익 492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9.7%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152.0% 급증했다. 이번 분기 실적에는 IRA 세액공제 4908억원이 포함돼 있다. 이를 제외한 실질 영업이익은 14억원으로, 보조금을 빼고도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부사장(CFO)은 "북미 미시간 홀랜드의 신규 ESS 공장 가동 등으로 출하량은 증가했지만, 금속 가격 하락과 정책 불확실성으로 고객사의 구매 심리가 위축되면서 매출은 감소했다"며 "고수익 제품 비중을 늘리고 원가 효율화를 추진한 결과, 실질 흑자를 이뤄낼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날 실적 발표와 함께 하반기 사업 전략도 제시했다. 핵심 변수로는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 흐름이 지목됐다. 미국은 대중국 견제 차원에서 EV·ESS용 배터리에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고, PFE(금지외국단체) 조항을 통해 관련 기업의 세액공제 적용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국 배터리 업체의 미국 진출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반면 북미 내 설비 투자를 유인하는 AMPC(첨단제조 세액공제)와 ESS용 ITC(투자세액공제)는 각각 2032년, 2035년까지 유지돼, 현지 투자 기반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설명이다.

유럽과 영국도 정책 대응에 속도를 내고 있다. EU는 역내 배터리 생산에 약 8억5000만 유로를 투입 중이며, 영국은 전기차 보조금을 재개해 자국 중심의 EV 수요를 유도하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단기적으로는 관세와 정책 변화가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AI·자율주행 확산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전기차 수요가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2분기 중 의미 있는 수주 성과도 있었다. 대표적으로 중국 체리자동차와 46시리즈 원통형 배터리 공급 계약을 체결했다. 이는 자국 업체 선호가 강한 중국 완성차 업체와 맺은 첫 원통형 배터리 계약으로, LG에너지솔루션의 기술력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또한 북미 미시간주 홀랜드 공장에서 LFP 기반 ESS 롱셀의 양산도 본격화됐다. 회사는 "현지 생산 능력을 바탕으로 고객 대응력을 높이고, 제품 다변화를 통해 추가 수주 확대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