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여년 만에 다시 통일부로 돌아온 정동영 신임 통일부 장관이 지난 정부에서 축소된 통일부 조직의 '정상화' 의지를 강하게 드러냈다.
정동영 장관은 25일 오후 서울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44대 통일부 장관 취임식에서 "잘 아시다시피 저는 전주가 지역구인 국회의원이지만, 통일부는 제 '신념의 지역구'"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저를 다시 통일부 장관으로 보낸 것은 무너진 한반도 평화를 복원하고, 남북관계를 개선하라는 특명이라고 생각한다"고 운을 뗐다.
이어 "20년 전 통일부는 역사적인 6·15 공동선언이라는 언덕 위에 서 있었지만, 오늘의 통일부는 완전히 무너진 남북관계라는 폐허 위에 서 있다"며 "윤석열 정부는 내란을 통해 민주공화국 대한민국을 무너뜨리고, 통일부 무력화를 통해 한반도 평화의 마지막 버팀목까지 부러뜨렸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남북관계를 복원하고자 하는 우리 스스로의 의지와 능력마저 퇴색됐다"며 "이제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의 복원, 이를 위한 통일부 정상화는 시대적 과제가 됐다"고 힘줘 말했다.
정 장관은 '평화가 전부는 아니나, 평화 없이는 아무것도 아니다'라는 빌리 브란트 전 서독 총리의 말을 인용하며 "빛의 혁명으로 탄생한 국민주권정부의 첫 통일부 장관으로서 평화를 만들고 지켜온 민주정부의 역사를 정확하게 계승하겠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지금은 공존의 시간이다. 상호 적대가 아닌 상호 공존을 위한 가장 현실적이고 가장 실용적인 방안을 찾아야 한다"며 "이를 위해 남북 간 끊어진 연락 채널을 신속히 복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평화가 경제를 안정시키고 경제가 다시 평화를 확장하는 남북 간 '평화경제' 시대를 열어야 한다"며 "가능한 빠른 시일 안에 남북 간 경제협력을 재개하고, '한반도 인공지능(AI) 모델'과 같은 첨단형 미래 협력 모델도 모색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특히 "통일부는 가장 시민 친화적이고, 가장 시민 참여적인 부처로 환골탈태해야 한다. 모든 판단의 기준은 역사와 국민의 뜻이어야 한다"며 "주권자인 국민이 남북관계와 통일 문제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개진할 수 있도록 조속한 시일 내에 '사회적 대화 기구'를 출범하도록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교류협력국 없이 어떻게 평화경제의 시대를 열 것이며, 남북회담본부 없이 어떻게 남북대화의 문을 열 수 있겠느냐"고 반문하며 "통일부가 평화의 버팀목이자 건설자로서 더 큰 책임과 역량을 다할 수 있도록 조직의 기능과 역할을 정상화하고 강화하겠다"고도 했다.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로 규정한 북한을 향해서는 "지난 3년은 남북 간에 최악의 시간, 적대와 대결로 서로를 맞받아쳤던 강대강의 시간이었다"며 "적대와 대결의 시간을 뒤로 하고 다시 화해와 협력의 시대를 열어가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올해 12월 26일은 시인 김소월이 진달래꽃을 펴낸 지 꼭 100년이 되는 날"이라며 "진달래꽃 100년 공동행사를 같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은 일이겠냐"고 덧붙였다.
정 장관은 이날 취임식에 앞서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판문점을 방문해 장기간 단절된 남북 연락채널 현지 상황을 점검했다. 판문점은 1971년 남북 적십자 접촉을 시작으로 2018년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해 총 370여 차례 회담이 열렸던 '대화와 화해'의 공간이다.
정 장관은 현장에서 "남북대화 재개와 조속한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단절된 남북 간 연락 채널 복원이 급선무"라며 "앞으로 유엔사 등 유관기관 간 긴밀한 협조하에 판문점 공간을 단절과 긴장의 장소가 아니라 연결과 협력의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취임사에서도 판문점 방문을 언급하며 의미를 강조했다. 그는 "대답이 없는 남북 직통전화를 전화기를 들고 벨을 길게 세 차례 눌렀다. 선이 끊어진 것인지 벨이 울려도 받지 않는 것인지 전화는 먹통이었다"며 "판문점에서 서울로 돌아오는 차 안에서 다시 한번 무거운 마음으로 분단국가의 통일부 장관으로서 긴 전쟁을 끝내고 한반도의 평화 체제를 시작해야 할 역사적 소명을 마음속으로 되새겼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그때 이명배기가 안 되고 정동영이 되었다면 지금 한국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