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P 격노' 이후 사건 개입 정황…박진희 보좌관 특검 소환 "채 상병 명복 빌어"

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해병대원 사망 사건 관련 외압 의혹을 수사 중인 순직해병 특별검사팀(특별검사 이명현)이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의 핵심 참모였던 박진희 전 군사보좌관(현 육군 제56사단장)을 28일 소환 조사했다.

박 전 보좌관은 이날 오전 9시께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했다. 현직 육군 소장인 그는 사건 당시 이 전 장관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한 인물로, VIP(대통령) 지시 이후 수사 외압이 실제 실행되는 데 깊이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전 보좌관은 지난해 7월 30일 채수근 상병 사망 사건의 초동수사 결과를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이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과 함께 이 전 장관에게 보고할 당시 현장에 배석했다. 이후 윤석열 전 대통령이 다음날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수사 결과를 보고받은 직후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겠느냐”고 격노했다는 정황이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회의 직후인 오전 11시 54분, 이 전 장관과 168초간 통화했다. 통화 직후 이 전 장관은 박 전 보좌관의 휴대전화로 김 전 사령관에게 연락해 사건의 경찰 이첩을 보류하도록 지시했다. 이후 해병대 수사단의 언론 브리핑도 취소됐다.

박 전 보좌관은 VIP 격노 다음날인 8월 1일, 김 전 사령관에게 “확실한 혐의자는 수사 의뢰, 지휘 책임 인원은 징계로 검토해달라”는 텔레그램 메시지를 보냈고, 사건의 이첩 시점을 늦추겠다는 취지의 문자도 전송했다. 당시 그는 국방부 현안회의에 참석해 사건 대응을 조율하고, 해병대 지휘부의 동향도 면밀히 파악했다.

특검팀은 박 전 보좌관이 국방부 조사본부에 ‘장관 지시’를 명목으로 혐의자를 줄이라는 압박을 가한 녹취록도 확보했다. 특검은 그가 대통령실·국방부·해병대 간 소통 창구 역할을 하며 수사 방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특검은 이날 조사에서 △윤 전 대통령과 이 전 장관의 구체적 지시 내용 △사건 이첩 보류의 배경 △국방부조사본부 이첩 건의가 배척된 이유 △이 전 장관의 이후 대응 지시 등을 집중적으로 캐물을 것으로 보인다.

출석 당시 박 전 보좌관은 ‘VIP 격노나 혐의자 제외 지시를 전달받은 바 있느냐’는 취재진 질문에 “특검 조사에서 성실히 말하겠다”고만 짧게 답했다. VIP 격노설 관련 질문에는 “순직한 채 상병의 명복을 빈다”며 즉답을 피했다.

박 전 보좌관은 2023년 말 소장으로 진급해 현재는 육군 제56사단장을 맡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