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전국 항만 물동량 3억8776만t...전년 대비 2.2% 감소

2025년 2분기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사진해양수산부
2025년 2분기 주요 무역항별 물동량[사진=해양수산부]
올해 2분기 전국 항만의 물동량이 3억8776만t으로 집계됐다. 

해양수산부는 올해 2분기에 전국 무역항에서 전년 동기(3억 9643만t)보다 2.2% 감소한 총 3억8776만t(수출입화물 3억3136만t, 연안화물 5640만t)의 물량을 처리했다고 29일 밝혔다.
 
2분기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3억3702만t) 대비 1.7% 감소한 3억3136만t으로 집계됐으며 연안 물동량은 전년 동기(5941만 t) 대비 5.1% 감소한 5640만t이었다.

국내 항만 물동량은 부산항과 울산항을 제외한 나머지 항에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항만별로 보면 부산항, 울산항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4%, 2.9% 증가했고 광양항, 인천항, 평택·당진항은 각각 1.3%, 0.8%, 3.5% 감소했다.

2분기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처리 물동량은 전년 동기(811만 TEU) 대비 1.9% 증가한 826만TEU(1TEU 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집계됐다.
 
수출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456만 TEU) 대비 0.6% 감소한 453만 TEU를 기록했다. 미국 수출 물동량 감소 등 영향으로 전체 수출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1.0% 감소했다. 중국, 베트남 등 수입 물동량 감소의 영향으로 수입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0.2% 줄어들었다.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기(351만TEU)에 비해 5.3% 증가했다. 미국(8.2%), 중국(4.7%) 등의 환적 물동량 증가가 전체 물동량 상승을 견인했다는 게 해수부의 설명이다.

2분기 비컨테이너 화물 물동량은 2억4707만t으로, 전년 동기(2억 5532만t) 대비 3.2% 감소했다. 울산항, 인천항은 증가했고 광양항, 평택·당진항은 감소했다.

전재수 해수부 장관은 "민·관·연 합동의 해운물류분야 통상현안 비상대응반 운영을 통해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해상운임 등의 시장 상황을 상시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관계 기관과의 소통도 지속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