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 시한 임박에도 느긋한 인도…"中 견제 핵심, 협상서 우위 점유"

  • 전문가 "다음 달 1일까지 협정 체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오른쪽)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사진=로이터·연합뉴스]

미국이 인도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한 시점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지만, 인도는 협상에 서두르지 않는 모습이다. 핵심 쟁점인 농업 및 유제품 시장 개방을 둘러싸고 미국과 입장차를 좁히지 못한 데다, 인도 스스로도 미국과의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다고 판단한 결과로 풀이된다.
 
29일(현지시간)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와 CNBC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4월 인도에 26%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후 인도는 협상단을 다섯 차례나 워싱턴에 보내 관세율 인하를 시도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초 "인도와 거래는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언급하며 협상 타결 기대감도 커졌지만 아직까지 실제 합의 소식은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양국이 시한 내에 협상을 마무리 짓기는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릭 로소우 미국·인도 정책 연구소장은 SCMP에 "다음 달 1일까지 협정을 체결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해 보인다"며 "초기 단계에서는 협상이 상당히 빠르게 진행됐지만, 최종 단계는 항상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고 말했다.
 
협상이 막판 진통을 겪는 핵심 이유는 인도의 농업 개방 문제다. 인도는 자국 농산물과 유제품 시장을 보호해왔으며, 특히 농업은 전체 인구의 42%가 생계를 의존할 정도로 민감한 분야다. 또한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 확대는 나렌드라 모디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농민계층을 자극할 가능성이 높다.

힌두교 문화로 소를 신성시하는 전통도 장애물이다. 인도에서는 수입 우유조차 풀을 먹인 젖소에서 짜냈다는 점이 입증돼야 수입이 허용될 만큼 유제품에 대한 기준이 까다롭다.
 
이에 맞서 미국도 인도가 요구한 철강·알루미늄·자동차 관세 인하에 응하지 않고 있다. 무역 협상이 교착 상태에 빠진 가운데 피유시 고얄 인도 상공부 장관은 "인도는 어떤 무역 합의도 마감일이나 시한을 기준으로 하지 않는다"며 시간에 쫓겨 협상을 마무리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기도 했다.
 
인도가 이처럼 여유로운 태도를 보이는 배경엔 전략적 계산도 깔려 있다. 인도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을 견제할 수 있는 핵심 국가로 평가받는다. 미국으로선 인도의 군사적·경제적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CNBC는 미국 입장에서는 군사적으로 중국을 견제하고 제조업 분야에서도 중국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인도가 매우 중요하다고 짚었다.

게다가 인도는 브라질·러시아·중국 등과 함께 브릭스(BRICS) 내에서도 리더십을 놓고 중국과 경쟁 중이며,유럽연합(EU), 영국, 몰디브 등과의 FTA 협상도 속도를 내고 있어 미국의 고관세 압박을 어느 정도 완충할 수 있는 외교적 카드도 확보하고 있다.
 
한편, 양국은 포괄적 무역협정 1단계 합의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미국·일본·호주·인도의 안보 협의체인 '쿼드'(Quad) 정상회의에 맞춰 트럼프 대통령이 인도를 방문할 때 합의안이 발표될 가능성도 거론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