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기업들 관세 우려에 베선트 美 재무 "관세 부과돼도 세상 끝나지 않아"

  • 내달 1일 관세 발효 앞두고 우려 고조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사진EPA연합뉴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 [사진=EPA연합뉴스]


내달 1일 상호관세 유예 마감 기한이 다가오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관세의 영향이 일시적이고 제한적일 것이라며 시장 심리 안정에 나섰다.
 
미 경제매체 CNBC에 따르면, 베선트 미 재무부 장관은 29일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진행된 CNBC와 인터뷰에서 “긴급 관세가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지속되더라도 세상이 끝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각 국가가 전진하고 성실하게 협상을 시도하면” 상황은 완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발언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8월 1일 관세 부과를 앞두고 기업들을 안심시키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8월 1일까지 미국과 무역협정을 체결하지 않은 국가들에 대해 15~20% 수준의 일괄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4월 ‘해방의 날’ 행사에서 처음 발표된 관세율이 본격적으로 시행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이 와중에 산업 현장에서는 관세 발효 시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한 타격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많은 기업들은 이미 변화하는 관세 정책에 이미 대응 중이다.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 속에서 공급망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비용 전가 없이 자체 부담을 감수하며 가격 인상을 억제하려 노력하고 있다.
 
미국 상무부 자료에 따르면 수입업체의 90% 이상이 상대적으로 관세 충격에 취약한 중소기업이다. 베선트 장관은 관세 영향을 “단기적”이라고 강조했지만 업계는 회의적인 시각을 드러내고 있다.
 
전문가들도 결국 기업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특히 주류·증류주·빵·커피·생선·맥주 등 일부 식품의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관세의 영향이 곧바로 소비자 물가에 반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은 주요 품목 수입 의존도가 높은 만큼 갑작스러운 관세 인상은 공급망 비용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고위 관계자들은 수십 개국의 무역 협상과 관세율이 아직 해결되지 않은 가운데, 관세 부과 시점인 8월 1일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