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기에 교통부, 카카오모빌리티 방문…자율주행 체험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인근에서 벨기에 교통부교통·기후·생태전환부 소속 ‘타냐 브라인세일스오른쪽’ 전략모빌리티국장이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지난 25일 경기 성남시 카카오모빌리티 사옥 인근에서 벨기에 교통부 소속 타냐 브라인세일스 전략모빌리티국장(오른쪽)이 자율주행 차량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카카오모빌리티는 벨기에 교통부 소속 타냐 브라인세일스 전략모빌리티(이동수단)국장이 경기 판교 사옥을 방문해 자율주행 기술을 살펴봤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유럽연합(EU) 내 ‘자율주행 분야 주도’를 목표로, 카카오모빌리티 사례 참조를 희망한 벨기에 측 요청으로 성사됐다.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먼저 카카오모빌리티에서 준비한 자율주행 차량에 탑승해 약 30분간 판교 일대를 주행했다.
 
이후 실내로 장소를 옮겨 카카오모빌리티의 △자율주행 시대 대비 현황 △서울 자율주행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 선정 후 활동 경과 등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브라인세일스 국장은 글로벌 빅테크(거대기술) 기업이 주도하고 있는 자율주행 상용화 흐름 속에도 자체 기술 역량 수준을 높여가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의 전략에 많은 관심을 보였다.
 
△이용자 성향·서비스 통계 등을 토대로 모빌리티 최적화에 기여하고 있는 점 △관제·운영·자율주행 기술·디지털 트윈(현실세계의 가상화) 등 여러 요소에서 두루 강점을 갖춘 점을 긍정 평가했다.
 
그는 “카카오모빌리티가 한국 정부와 긴밀한 협업으로 자율주행 상용화 목적 제도 및 서비스를 만들어 가는 데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말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에서도 자율주행이 본격화하는 데 다각도로 대비하고 있다. 자체 개발 자율주행차 키트(AV-Kit)가 탑재된 ‘3세대’ 자율주행 차량으로 대규모 데이터를 수집하고, 오토라벨링(데이터 라벨 자동부착)을 통해 자동 분류하는 효율적인 대규모 학습 데이터 생성 체계를 구축해나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