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무인기 탐지를 위해 백령도에 배치된 국지방공레이더가 지난해 하반기 일정 기간 비정상적으로 운용됐다는 군 내부 증언이 나왔다.
비상계엄 선포에 앞서 북한의 도발을 유도하고자 기획된 게 아니냐는 의심을 받는 ‘평양 무인기 작전’이 아군에 노출하지 않도록 레이더를 변칙 운용한 게 아니냐는 의혹 주장이다.
31일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확보한 군 관계자 제보에 따르면 작년 하반기 백령도 주둔 해병대 6여단에 국지방공레이더를 주간에만 운용하라는 지시가 하달됐다.
내부에선 장비가 한 대밖에 없어 주간 위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고 해도, 북한의 오물 풍선이나 드론이 날아올 가능성이 있는 상황에서 야간에 아예 운용하지 않는 것이 의아하다는 반응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공교롭게도 레이더가 비정상적으로 운용된 시기는 드론작전사령부가 북한에 무인기를 보내는 비밀 작전을 수행한 시점과 겹치는 것으로 전해졌다.
드론사는 지난해 10월 3일과 8∼9일, 11월 13일 등 세 차례에 걸쳐 북한으로 무인기를 침투시켰다.
레이더가 주야간으로 정상 작동할 경우 해당 무인기도 탐지될 수 있는 만큼 이를 은폐하려 했던 것 아니냐고 의심할 수 있는 대목이다.
현재 해당 레이더는 주간에 주로 작동하지만 야간에도 불규칙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추 의원은 “만약 야간에 레이더가 운용되지 않는 사이 북한 무인기가 백령도를 통해서 넘어왔다면 우리는 사실상 무방비 상태가 됐을 것”이라며 “무리한 북풍몰이 과오를 감추기 위해, 엄청난 안보 공백을 초래한 이적행위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외환 의혹을 수사하는 조은석 특별검사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 선포의 명분을 만들 목적으로 드론사에 직접 평양 무인기 투입을 지시했는지 수사 중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