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에 숨죽인 시장, 재건축 활성화 예고한 金-吳...기로에 선 집값

사진연합뉴스
서울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 [사진=연합뉴스]

정부의 6·27 대출 규제 이후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5주 연속 둔화하면서 숨 고르기 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재건축 단지나 신축 아파트가 밀집한 선호 지역은 신고가 거래 사례가 나타나는 등 가격 상승 압력이 여전한 모습이다. 이런 가운데 김윤덕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과 오세훈 서울시장이 공급 확대 차원에서 정비사업 활성화를 강조하고 나서면서 기로에 선 서울 집값 향방에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넷째 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2% 오르며 전주(0.16%) 대비 상승 폭이 축소됐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발표한 이후 오름세는 유지됐으나 5주 연속 오름폭이 줄고 있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과열 양상을 보이던 집값 상승세는 완화됐으나 근본적인 불안 요인은 해소되지 않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서울 강남권과 한강벨트 지역 주요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 수요가 여전한 상황에서 공급이 신속하게 이뤄지지 않으면 가격 반등 가능성은 상존한다는 평가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성동구 옥수동 한남하이츠 전용면적 89㎡는 지난달 10일 27억원에 신고가 거래됐다. 지난 6월 22억9000만원에 거래가 체결된 뒤 한 달 만에 가격이 약 4억원 오른 것이다. 서울 송파구 대표 재건축 단지인 잠실동 주공아파트 5단지 전용면적 76.5㎡는 지난달 11일 41억7700만원에 매매 계약이 체결되며 신고가를 기록했다.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견조한 상승 흐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토부와 서울시가 도심 주택 공급 확대 차원에서 정비사업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어 향후 집값 향방도 주목된다. 김윤덕 국토부 장관은 지난달 31일 취임사를 통해 "공공성을 고려한 정비사업 활성화 등을 통해 국민이 신뢰할 수 있는 공급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시장도 지난달 평균 18.5년 이상 걸리는 정비사업 기간을 13년으로 5년 이상 단축하는 '주택공급 촉진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전문가들은 수요 억제 일변도인 정책은 향후 집값에 '점핑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 시장을 안정시키는 동안 확실한 공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 사례를 볼 때 대출 규제 등 금융정책 효과가 장기간 지속되기 어려워 공급 대책 속도에 따라 집값 방향이 결정될 수 있다는 의견이다. 

고준석 연세대 상남경영원 주임교수는 "대출 규제로 우선 시장의 열기를 눌러 놓은 상황인데 공급 대책이 나오지 않으면 결국엔 시장이 다시 움직일 수밖에 없다"며 "공급은 물리적 시간이 필요해 지금 하지 않으면 악순환이 이어질 수 있다. 대출 규제로 시간을 벌었기 때문에 지금 신속하게 공급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