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손보 적기시정조치 '초읽기'…추가 자본확충 계획 낼까

  • 내달 금융위 재개 되면 여부 결정될 듯…경영개선권고 가능성

  • 유상증자 등 구체성이 핵심…기한이익상실 등 자금이탈 막아야

서울 중구 롯데손해보험 본사 사진롯데손해보험
서울 중구 롯데손해보험 본사 [사진=롯데손해보험]
건정성 지표가 바닥을 치고 있는 롯데손해보험에 대한 적기시정조치가 ‘초읽기’ 단계에 돌입했다. 롯데손보로서는 이달 금융위원회가 휴회하는 점을 최대한 활용해 구체적인 자본 확충 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르면 내달 초 롯데손보에 대한 적기시정조치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앞서 롯데손보 경영실태평가 결과를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 결과는 종합등급 3등급, 자본적정성 4등급으로 전해진다.

자본적정성 4등급을 받으면 적기시정조치 대상이 된다. 보험업계 안팎에서는 적기시정조치 유예를 위해 롯데손보에 남은 시간이 1개월 정도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미 금융위에서 상당 기간 검토가 이뤄진 만큼 정례회의가 재개되는 내달 3일께 적기시정조치 여부가 결정될 가능성이 있다.

현재로서는 롯데손보가 적기시정조치 중 가장 낮은 단계인 경영개선권고 대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롯데손보가 금융당국에 자본 확충 계획을 제출했지만 유상증자 등 구체적인 자본 확충 방안은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달 말 2분기 지급여력비율(K-ICS·킥스)이 공시되는 것도 롯데손보에는 부담이다. 구체적인 자본 확충 계획 없이 지급여력비율이 금융당국 권고치(130%)를 넘어서지 못한다면 적기시정조치 유예를 기대하기 어려워진다. 롯데손보의 지난 1분기 말 기준 지급여력비율은 119.9%로 금융당국 권고치를 밑돌았다.

롯데손보에 적기시정조치가 부과된 이후 추가 자본 이탈이 발생할 가능성도 있어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롯데손보 대주주인 빅튜라(JKL파트너스가 세운 특수목적법인)가 받은 주식담보대출에 대한 기한이익상실(EOD)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기한이익상실 발생 이후 빅튜라가 원리금을 상환하지 못하면 빅튜라가 보유한 롯데손보 지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통상 인수금융이나 회사채, 주식담보대출에서 기한이익상실은 재무약정 불충족 시 발생할 수 있다”면서도 “기술적으로 치유 기간이 존재할 수 있어 기한이익상실이 즉시 확정되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우려는 롯데손보 주가에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 롯데손보 주가는 최근 보험주가 상승 랠리에 올라타면서 지난달 14일 종가 기준 2000원까지 올랐다. 그러나 롯데손보가 구체적인 자본 확충 계획을 내놓지 못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하향 곡선을 그리기 시작했고 지난 1일에는 1672원까지 떨어졌다.

금융권 관계자는 “전반적인 자본 상황과 향후 개선계획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해 적기시정조치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며 “그 연장선에서 자금 이탈이 발생하지 않도록 단속하는 것도 롯데손보에는 주요 과제”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