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위, 시민참여 경청회 개최…"참여·소통 제도화 검토"

  • 이한주 "12·3 쿠데타 막은 건 시민…제도 정착시킬 것"

22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청소년 명예 국정기획위원 위촉식에서 이한주 위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22일 서울 종로구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열린 청소년 명예 국정기획위원 위촉식에서 이한주 위원장이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정부 청사진을 그리는 국정기획위원회는 5일 새 정부가 추구하는 국민주권정부의 실천 방안으로 시민참여 활성화 및 제도적 보장에 관한 시민사회 의견 수렴 간담회를 개최했다.

국정위는 이날 오전 10시 정부서울청사 별관 대회의실에서 국민주권정부 '시민참여 현장 당사자 경청회'를 열고 시민의 정책 결정과 공익활동 참여 활성화 및 실질화를 위한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과제를 논의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시민사회활성화전국네트워크, 민주시민교육전국네트워크, 한국갈등학회, 풀뿌리단체, 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등 복수 시민단체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시민단체들은 국민주권정부 구현과 참여·숙의 민주주의 간 밀접한 관계를 제시하고, 이를 위한 과제로 다양한 정책 영역에서 숙의 공론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국가기구와 시민사회 전반의 민주적 해결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및 정부·시민사회 간 협력과 소통 강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제의 마련과 추진체계가 필요하다고 건의했다.

이에 국정위는 참여와 숙의, 소통의 정착과 제도화를 통해 시민 참여 기반의 정책 결정 및 정부 운영 실질화를 위한 종합적 실행전략과 ‘국가시민참여위원회(가칭)’ 등의 추진체계를 검토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지난해 12·3 쿠데타를 막고 시민이 권력을 다시 가져오게 된 배경에는 행동하는 시민의 힘이 결정적이었고, 이는 우리 민주주의의 자랑이다"라며 "새로운 제도를 만들고 정착시키는 데 활동가 여러분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많은 생각을 모아 함께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