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 로고[사진=로이터·연합뉴스]
세계 최대 인공지능(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가 자사 AI 칩 보안 취약 의혹을 제기한 중국에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섰다.
데이비드 리버 엔비디아 최고보안책임자는 5일(현지시간) 블로그에 “엔비디아 그래픽처리장치(GPU)에는 킬 스위치나 백도어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해서도 안 된다”고 밝혔다.
킬 스위치는 원격으로 칩을 비활성화할 수 있는 기능이고, 백도어는 정부나 해커가 기기 내부에 숨겨진 기능을 통해 데이터를 탈취하거나 원격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이다.
리버의 이런 부인은 중국 국가인터넷정보판공실이 지난달 31일 엔비디아 H20 칩에 대한 보안 취약점 의혹을 제기하고, 관련 문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한 데 대한 반박이다.
당시 엔비디아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사이버 보안은 엔비디아에 매우 중요한 사안”이라며 “우리 칩에는 외부에서 원격으로 접근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백도어가 없다”고 밝힌 바 있다.
리버는 “비밀 백도어는 단순히 정부만이 아니라 해커들도 악용할 수 있는 위험한 보안 취약점이며, 이는 사이버보안의 근본 원칙을 위반하는 행위”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킬 스위치나 백도어를 엔비디아 GPU와 같은 칩에 내장하는 것은 미국 국가 안보에도 해가 된다고 주장했다.
H20은 2023년 말 미국의 첨단 AI 칩 수출 제한 조치 이후 중국 시장을 위해 개발된 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는 올해 4월 H20의 중국 수출을 규제했다가 지난달 판매 재개를 허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