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군이 한국형 전투기(KF-21)의 공대지 능력을 당초 계획한 2028년 말에서 2027년 상반기로 1년 반 이상 앞당겨 확보한다.
방위사업청은 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에서 제170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방추위)를 열고 ‘한국형전투기(KF-X) 체계개발기본계획 수정안’을 심의·결의했다고 밝혔다.
한국형 전투기 체계개발은 F-4와 F-5 등 노후 전투기 도태에 따른 부족소요 보충과 미래 전장운용개념에 부합하는 성능을 갖춘 전투기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8조8142억원이고, 사업 기간은 2028년까지다.
방사청 관계자는 “10종류의 (공대지) 탄을 신속하게 전력화하기 위해 3단계로 줄여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날 방추위에선 △해상작전헬기-Ⅱ 구매계획 △전투용 무인수상정 사업추진기본전략 △고속상륙정(LSF-Ⅱ) 배치-Ⅱ 사업추진기본전략 △리본부교-Ⅱ 사업추진기본전략 등도 승인됐다.
해상작전헬기-Ⅱ는 해군 함정에 탑재하는 노후 해상작전헬기(링스)를 대체하는 전력을 국외 구매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3조원 이상이며, 사업 기간은 2032년까지다.
대상 기종은 해상작전헬기-Ⅰ 사업 때도 구매한 미국산 MH-60R(시호크)로, 정부 대 정부 계약인 대외군사판매(FMS) 방식으로 구매가 이뤄질 예정이다.
방사청은 “이 사업을 통해 기존 노후 헬기 대비 체공시간과 표적 탐지능력이 향상된 해상작전헬기를 확보함으로써,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탑재 적 잠수함 등의 수중·수상세력 탐지와 신속 공격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투용 무인수상정은 국내 연구개발로 확보하기로 했다. 총사업비는 6094억원이며, 사업 기간은 2026년까지다.
고속상륙정 배치-Ⅱ는 적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바다에서 고속상륙돌격이 가능한 상륙정을 국내 개발로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9998억원, 사업 기간은 2036년까지다.
리본부교-Ⅱ는 전차와 장갑차 등 육군 기동장비가 자체 능력으로 건널 수 없는 하천에 부교 등을 설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형 도하장비를 확보하는 사업이다. 총사업비는 9078억원, 사업 기간은 2035년까지다.
방사청 관계자는 “기존 리본부교는 1990년대 도입됐다. 현대 장비가 고중량화됐으며, 작전 속도 보장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