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환율 동반 상승…수입물가 6개월 만에 반등

  • 한국은행, 7월 수출입물가지수 발표

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국제 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모두 오르면서 수입물가도 6개월 만에 올랐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수출입물가지수 통계에 따르면 올해 7월 기준 수입물가지수(원화 기준 잠정치·2020년 수준 100)는 134.87로, 6월(133.73)보다 0.9% 올랐다. 2월부터 다섯 달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다가 7월 들어 반등했다.

원재료는 광산품(1.8%)을 중심으로 1.5% 올랐다. 중간재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1.6%), 화학제품(0.8%) 등이 오르면서 0.6% 상승했다. 자본재와 소비재 역시 각각 0.5%씩 올랐다.

세부 품목 중에서는 메틸에틸케톤(7.8%), 기타귀금속정련품(12.3%), 플래시메모리(4.9%), 이차전지(2.3%) 등이 눈에 띄게 뛰었다.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의 동반 상승이 수입물가를 끌어올렸다. 원·달러 환율은 올해 6월 평균 1366.95원에서 7월 평균 1375.22원으로 0.6% 상승했다. 같은 기간 국제유가는 두바이유 기준(월평균·배럴당) 69.26달러에서 70.87달러로 2.3% 올랐다.

이문희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이달 수입 물가 전망과 관련해 "8월 들어 두바이유는 전월 평균 대비 1.1% 하락했지만 원·달러 환율은 1.0% 상승했다"며 "국제유가와 환율이 상반된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대내외 여건 불확실성이 있어 향후 흐름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7월 수출물가지수(원화 기준)는 6월(126.88)보다 1.0% 오른 128.19로 집계됐다. 수출 물가도 넉 달 만에 상승세로 돌아섰다.

품목별로 농림수산품이 4.2% 올랐고, 공산품도 컴퓨터·전자·광학기기(2.8%), 석탄·석유제품(1.9%) 등을 중심으로 1.0% 상승했다. 세부 품목 중에는 냉동수산물(5.1%), 경유(4.7%), 은괴(5.4%), D램(8.6%)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7월 무역지수(달러 기준)는 수입물량지수(118.07)와 수입금액지수(138.31)가 작년 동월 대비 7.8%, 1.8%씩 상승했다. 수출 역시 물량지수(127.86)와 금액지수(142.27)가 각각 8.2%, 4.3%씩 올랐다.

우리나라가 한 단위 수출로 얼마나 많은 양의 상품을 수입할 수 있는지 가늠할 수 있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94.99)는 작년 동월 대비 2.1% 올라 25개월 연속 상승세를 유지했다. 수입가격(-5.6%)이 수출가격(-3.6%)보다 더 크게 하락한 결과다.

소득교역조건지수(121.45)는 순상품교역조건지수(2.1%)와 수출물량지수(8.2%)가 모두 상승하면서 1년 전보다 10.5% 상승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