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챗GPT 개발사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은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앞으로 수조 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올트먼 CEO는 전날 기자들과 만나 "오픈AI가 머지않은 미래에 데이터센터 건설에 수조 달러를 쓸 것"이라면서 "자금 조달을 위해 새로운 금융 수단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막대한 자금 조달을 위해 "아직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금융과 컴퓨팅을 결합한 아주 흥미롭고 새로운 금융수단을 만들 수 있다"고 설명했다.
막대한 투자 비용을 쓰더라도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이란 자신감도 드러냈다. 그는 "오픈AI가 많은 돈을 쓰겠지만, 결국 막대한 이익을 보게 될 것"이라며 "지금 계속 투자하는 것은 우리에게 매우 합리적"이라고 말했다.
그는 AI 개발 비용을 충당하는 방법 중 하나로 기업공개(IPO) 가능성도 언급했다. 구체적인 시점은 밝히지 않았다.
올트먼 CEO는 "언젠가는 상장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아마도 그렇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나는 상장사 CEO 역할에 적합한 타입은 아니다"라며 오픈AI가 상장할 경우 새로운 CEO가 필요할 수 있음을 내비쳤다.
다만, 현재의 AI 투자 열풍이 1990년대 후반 '닷컴 버블'과 유사하다고 봤다.
올트먼 CEO는 "두 경우 모두 '똑똑한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에 '과도하게 흥분'했다"면서 다만 "두 사례 모두 기술이 실제로 존재하며 결국 비즈니스와 사회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투자자 전체가 AI에 대해 과도하게 흥분한 단계에 있다고 보느냐고 묻는다면 '그렇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최신 AI 모델 GPT-5의 성능 오류에 대해서도 인정했다.
최근 'GPT-5'가 이전 버전인 'GPT-4o'보다 오히려 못하다며 기존 모델을 되살리라고 반발했고 오픈AI도 결국 이를 받아들인 것이다.
그는 "출시 과정에서 완전히 잘못한 부분이 있다"며 "수억 명이 쓰는 제품을 하루 만에 업그레이드할 때 발생하는 문제와 사람들이 이 제품에 갖는 애착이 기존 제품과 얼마나 다른지에 대해 큰 교훈을 얻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