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입수한 문서를 인용해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우크라이나는 유럽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1000억 달러(약 138조8800억원) 규모의 미국산 무기를 구매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복수의 소식통들은 우크라이나는 이날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을 앞두고 유럽 동맹국들과 공유한 대화 요점 목록에서 이 같은 새로운 안보 협력안을 제시했다고 전했다.
구체적인 조달 품목은 명시되지 않았지만 우크라이나는 자국 도시와 주요 기반시설 방어를 위해 최소한 미국산 패트리엇(Patriot) 방공 시스템 10기와 각종 미사일, 장비 구매 의사를 밝혀온 바 있다.
FT는 우크라이나의 제안은 미국 산업에 혜택을 주려는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을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우리는 아무것도 그냥 주지 않는다. 우리는 무기를 파는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이번 제안이 트럼프 대통령이 알래스카 회담 이후 러시아 입장에 기운 듯한 모습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이와 관련해 문서에서도 “지속 가능한 평화는 푸틴에게 양보나 무상 제공을 통해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향후 침략을 막을 강력한 안보 체계 위에 구축돼야 한다”고 못박았다. 또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영토 양보가 포함된 어떤 합의도 수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면서, 휴전을 전면적 평화 합의를 위한 첫 단계로 규정했다.
아울러 푸틴 대통령이 알래스카 회담에서 제안한 ‘우크라이나가 점령된 동부 도네츠크·루한스크에서 병력을 철수하면 전선을 동결한다’는 방안도 거부했다. 문서는 이에 대해 “러시아군이 드니프로 시를 향해 신속하게 전진할 수 있는 교두보가 마련되고, 푸틴이 다른 방식으로 침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평화 합의 전 영토 문제를 선결하려는 시도가 단지 기정사실화만 만들 뿐, 장기적 안보 보장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또한 전쟁 피해에 대한 러시아의 완전한 배상도 요구했다. 이를 위해 서방에 동결된 3000억 달러 규모의 러시아 국부 자산을 활용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제재 완화는 러시아가 향후 평화 합의를 이행하고 “공정하게 행동”할 경우에만 가능하다고 문서는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