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 국무부가 올해 들어 6000건이 넘는 유학생의 비자를 취소했다고 미국 폭스뉴스 디지털판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국무부는 폭스 뉴스 디지털에 이들이 주로 비자 체류 기간 초과나 폭행, 음주운전, 절도, 테러 지원 등 법 위반으로 인해 비자가 취소했다고 설명했다. 한 국무부 고위 관리는 폭스에 보낸 성명에서 “(전체 비자 취소 6000건 중) 미국 방문 중 폭행이나 음주운전 등 범법 행위로 취소된 비자가 약 4000건”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 미 대학가에서는 불안함을 표하고 있다. 미리엄 펠드블럼 미국 고등교육이민협회 회장은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와의 인터뷰에서 “비자를 취소하는 합법적인 근거는 있겠지만, 이번 정부 들어 자의적이거나 투명성이 부족하고, 기존 규정과 일관되지 않은 행동이 많이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비자 취소뿐만 아니라 비자 인터뷰 지연도 미국 대학에서는 큰 골칫거리다. 실제로 해외 유학생 인원이 많은 학교는 어려움을 호소한다. 미 서부 애리조나주립대는 올 가을학기에 유학생 1만4600명이 등록했다. 지난해 가을학기 1만5104명이 등록한 것에 비하면 500여명 줄어든 수치지만, 이 학교가 2020년 1만106명, 2021년 1만2407명, 2023명 1만4028명 등 연간 1000명 이상씩 유학생 인원을 늘려온 것을 감안하면 실제 목표치보다 1000명 이상 부족하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 학교 대변인인 크리스 파커스는 현지 일간 애리조나리퍼블릭에 “이달(8월) 초 기준으로 학생 1000명이 합격했지만 비자를 기다리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이에 일부 학생들은 입학을 다음 해로 연기하거나 교수진 협의를 통해 입국을 9월로 미루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미국 대학 중 상당수가 이민자와 유학생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할 경우 앞으로 문을 닫아야 할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왔다. 미국정책재단(NFAP)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이민자, 유학생, 이민자의 자녀가 없다면 2037년 미국 대학의 학부생은 2022년보다 500만명 정도 줄어들어 현재의 3분의2 규모가 될 것이고, 대학원생은 최소 110만명이 줄어 현재 규모의 60%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연구를 진행한 매들린 자보드니 노스플로리다대 경제학과 교수는 “2007년부터 미국 출산율 감소로 인해, 대학 진학 연령대 인구가 2025년부터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고 미 포브스는 전했다.
한편, 국제교육자협회(NAFSA)는 최근 연구를 통해 이번 가을학기 미국 비자 발급 지연으로 신입생 15만명이 필요한 서류를 받지 못하고, 이로 인해 70억 달러(약 9조7000억원) 규모의 미국 경제 손실이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이번 사태로 하버드대 등 지역 내 주요 대학들이 직격탄을 맞은 매사추세츠주에서도 경제 손실이 최대 6억1900만달러(약 860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현지 매체 보스턴25뉴스는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