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 "지역화폐-스테이블코인 융합, 지역경제 살리는 정책 수단"

  • "지역화폐에 블록체인 접목하면 투명한 관리 가능"

  • "상용화 준비 끝…신뢰 확보 등 명확한 규정 필요"

사진코나아이
[사진=코나아이]

<편집자주>
스테이블코인의 제도화가 국내외 금융권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금융 안정성과 혁신을 동시에 이끌 수 있는 새로운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제도적 기반이 미비해 활발한 논의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이에 아주경제신문은 25일 열리는 ‘2025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국회 세미나’를 앞두고 주요 연사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이번 대담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의 필요성과 활용 방안, 향후 과제를 짚어볼 예정이다. 인터뷰는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와 김지윤 DSRV 대표 순으로 이어진다.



최근 정치권과 금융권에서 가장 주목받는 키워드는 단연 스테이블코인이다. 가상자산의 변동성을 최소화하고 법정화폐 가치와 연동되는 디지털 화폐라는 점에서 글로벌 금융시장의 판도를 바꿀 잠재력을 지니고 있다. 국내에서는 여기에 지역화폐를 결합한 새로운 모델이 주목받고 있다.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활용되는 지역화폐가 블록체인 기술과 결합하면, 안전하고 투명한 결제 시스템 구축은 물론 지역 경제 활성화와 금융 혁신까지 동시에 이끌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조정일 코나아이 대표는 19일 서울 여의도동 코나아이 본사에서 아주경제신문과 만나 "스테이블코인과 지역화폐가 만나면 지역경제를 살리는 새로운 정책적 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다"며 "사용처와 거래내역을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어 기존의 지역화폐나 법정화폐로는 불가능한 영역을 블록체인 기술이 보완해 줄 것"이라고 밝혔다.

조 대표는 스테이블코인 충전을 위해 예치된 법정화폐 준비자산을 부동산, 사회간접자본(SOC), 국채 등 안정적인 투자처에 운용해 수익을 창출하고, 지역 내 스테이블코인 소비 증가로 인한 지방세수 증대분의 일부를 추가 재원으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창출된 수익을 스테이블코인 보유량과 사용 빈도에 따라 이용자들에게 인센티브로 환원하면 재소비를 촉진할 수 있다고 봤다.

조 대표는 "순환 과정에서 소비자는 스테이블코인 결제와 보유를 통해 실물경제 수익을 실시간으로 환원 받을 수 있다"며 "소상공인은 매출 증대를, 지자체는 세수 증대와 투명한 정책 데이터 확보라는 이익을 얻는 경제 승수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승수 효과는 정부 지출이나 민간 투자가 경제에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쳐 초기 투입액보다 더 큰 수요 창출을 일으키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지역화폐는 '소비 촉진 → 소득 증가 → 재소비 → 세수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통해 경제 효과를 창출하고, 스테이블코인은 이 과정을 투명하게 관리해 승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의미다. 

조 대표는 자체 스테이블코인 개발을 마친 만큼 연내 상용화도 가능하다고 자신했다. 이미 코나아이가 블록체인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고, 모든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할 수 있는 기술적 기반을 완성했다고 전했다.

관건은 제도적 장치다. 스테이블코인이 실제 결제 수단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발행사 요건 △자금 운용 기준 △이용자 신뢰 확보 방안 등이 법적으로 명확히 규정돼야 한다. 조 대표는 "정부가 발행사 자격을 제한하는 방식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신탁 관리, 자금 운용, 안정성 확보 등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