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영상 SK텔레콤(SKT) 대표가 연내 5000억개 매개변수(파라미터)를 가진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겠다고 발표했다.
20일 유 대표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인 링크드인에 "연말까지 5000억개 매개변수를 가진 거대언어모델(LLM)을 출시하겠다"고 올렸다.
그는 "SKT 파트너들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 주관하는 국가 초거대 AI 모델 프로젝트 5대 컨소시엄 중 하나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다"며 "우리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포티투닷, 리벨리온, 라이너 등 국내 대표 기업 뿐 아니라 서울대,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 세계적 수준의 대학도 함께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유 대표는 SKT 컨소시엄 차별성으로 'AI 풀스택 혁신'을 강조했다. 데이터는 물론 LLM, AI 반도체, 서비스까지 가능한 그룹이라는 설명이다. 유 대표는 "더 특별한 점은 프렌들리AI, 리벨리온, 라이너 트웰브랩스 등 K-AI 얼라이언스 파트너들도 이번 프로젝트에 동참했다는 점"이라고 했다.
그는 연말에 있을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평가의 목표를 밝히며 "기존 국내 LLM 아키텍처를 넘어 대한민국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AI 에이전트를 창조해 AI 미래를 써 내려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사무·제조·자동차·게임 등 다양한 한업에서 혁신적 변화를 선도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AI 챗봇 ‘챗GPT’의 기반이 된 GPT-3.5는 1750억 개 매개변수를 탑재한 LLM이다. 뒤이어 공개된 차세대 모델 GPT-4는 규모가 1조 개를 넘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