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가족부가 오는 26일부터 다음 달 5일까지 ‘2025년 여성의 경제활동 및 경력단절 실태조사’를 실시한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조사는 여성의 경제활동 실태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경력단절 예방과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올해 조사는 여성 노동 전반의 문제 원인과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기존 결혼·출산·육아·가족 돌봄 중심에서 근로 조건까지 범위를 넓혔다.
또 인공지능(AI) 확산, 플랫폼 노동 증가, 재택·원격근무 확대 등 변화하는 고용 환경 속에서 여성들이 어떤 기회와 제약을 겪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신규 문항을 포함했다.
조사 대상도 확대한다. 기존 만 25~54세 여성에 한정했던 범위를 만 19세까지 넓혀 청년층을 포함한 전 생애주기의 여성 경제 활동 실태를 살필 예정이다.
주요 조사 항목은 △여성 경제 활동 전반과 고용형태·근로시간·임금 수준 △생애주기별 고용 특성과 노후 준비 인식 △경력 단절 원인과 재취업 현황 △일·가정 양립 지원제도 이용 실태 △직장 내 차별과 고용 환경 인식 등이다.
여가부는 내년 상반기에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청년부터 중·장년, 노년층까지 전 생애주기에 걸친 여성 고용 정책을 개발·보완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이번 조사는 2013년부터 3년마다 시행돼 왔으며 올해는 전국 17개 시·도 만 19~54세 여성이 포함된 7500가구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조사원은 표본가구를 직접 방문해 면접조사 방식으로 응답을 수집한다.
조민경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는 빠르게 진화하는 디지털 전환과 새로운 고용 형태 등 변화된 노동 환경과 법제도에 맞춰 조사 범위와 항목을 확대했다”며 “표본가구의 적극적인 참여와 정확한 응답이 성평등한 고용 환경 조성에 큰 밑거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