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언론공지를 통해 “이 대통령이 오늘 서울에 도착한 후 바로 우 정무수석에게 장 신임 당대표를 포함한 여야 지도부 회동을 즉시 추진하라고 지시했다”고 밝혔다.
이어 ‘영수회담’이라는 표현에 대해 “과거 권위적인 정치문화에서 쓰던 용어”라며 “지금은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회동이라는 표현을 쓴다”고 강조했다.
앞서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24일 미국으로 향하는 비행기에서 개최한 기자간담회에서 야당 신임 대표로 ‘반탄’ 후보들이 경쟁하는 것을 두고 “공식적인 야당 대표가 법적 절차를 거쳐 선출되면 당연히 대화해야 한다”고 했다.
이에 우상호 수석은 전날 국회를 찾아 장 대표를 예방하고 당선 축하 인사와 함께 축하 난을 전달하며 협치에 시동을 걸었다. 우 수석은 “대통령께서 기회가 되면 정상회담과 결과를 말씀드리고 싶다는 초대의 말씀을 전했다”며 회동을 공식 제안했다.
그러나 장동혁 대표는 이날 여야 지도부 회동 제안에 대해 “아직 공식적으로 제안 받은 바 없다. 정식 제안이 오면 그때 검토하겠다”며 “(회담에는) 형식과 의제가 가장 중요하다. 어떤 형식과 의제를 갖고 회담할지 협의 후 응할지 그때 결정하겠다”고 답을 미뤘다.
이에 강훈식 비서실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정무수석은 대통령실을 대표해 정무적인 활동을 한다”며 대통령실은 회동을 공식 제안했다고 반박했다. 그러면서 “의제가 안 맞거나 형식이 좋지 않아 만나지 못하겠다는 건 이해하기 어렵다”며 “장 대표가 대통령실의 성의 있는 제안을 헤아려 주길 희망한다”고 재차 회동을 제안했다.
정치권에서는 회동을 앞두고 기싸움이 이어지는 것에 대해 이 대통령이 경색된 여야 관계를 풀고 정치 복원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해빙기가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아주경제와 통화에서 "(장 대표가) 회동을 계속 거부하기에는 부담"이라며 "회동은 이뤄지겠지만 여야 대표들의 관계가 좋지 않기 때문에 성과는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