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스라엘이 국제사회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을 확대하는 국제사회의 흐름에 대응해 요르단강 서안 지구 병합을 논의하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이날 안보 내각 회의에서 서안지구 병합 방안을 공식 의제로 상정했다고 보도했다.
이 회의에 참석한 소수 핵심 장관 중 한 명은 로이터에 “병합은 국제사회의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움직임에 대한 대응 조치로 논의됐다”고 밝혔다.
최근 프랑스, 영국, 호주, 캐나다 등이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공식 인정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이스라엘은 이에 맞서 서안지구 병합을 추진하며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수립을 사실상 무산시키려는 의도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로선 병합 논의가 구체적으로 어떤 지역에 적용될지, 또 실제 행동으로 이어질지는 불확실하다. 로이터통신은 입법 절차 등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안지구는 국제법상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관할 구역이지만 이스라엘은 해당 지역에 유대인 정착촌을 확대하며 실질적인 지배력을 강화해왔다.
대부분 국가는 이런 상황을 이스라엘의 불법적 서안지구 점령으로 간주하고 있다. 또 유엔 산하 국제사법재판소(ICJ)는 지난해 이스라엘의 점령과 정착촌 건설이 국제법 위반이라고 판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은 미국의 확고한 지지를 받으며 국제사회의 비판에 크게 개의치 않는 모습이다.
2023년 10월 하마스의 테러 공격 이후 이스라엘 내에서는 팔레스타인 독립 국가 수립에 반대하는 여론이 더욱 확산됐다. 이에 따라 서안지구 병합을 주장하는 강경 우파 정치인의 목소리도 더욱 커지고 있다.
이스라엘은 지난 8월 21일, 가자시티 장악을 목표로 ‘기드온의 전차 2단계’ 작전을 개시한 데 이어 서안지구 내 유대인 정착촌 확장에 박차를 가하며 병합을 위한 움직임을 본격화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