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의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의 '금품 수수' 의혹 관련 2일 이봉관 서희건설 회장과 박성근 전 국무총리 비서실장을 잇따라 소환한다.
김형근 특검보는 1일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김건희씨가 서희건설로부터 반 클리프 목걸이 등을 수수한 의혹과 관련해 2일 오전 10시 이봉관 회장을, 오후 2시에는 박성근 전 비서실장을 불러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특검 수사의 본질은 사인이 대통령실 자원을 이용해 사익을 추구한 의혹을 규명하는 데 있다"며 "남은 기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입원 치료를 이유로 소환을 미뤄왔으나, 변호인과 조율 끝에 출석에 협의했다. 특검은 이 회장과 김 여사 사이의 금품 제공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다. 김 특검보는 또 "이 회장과 김예성씨가 공범으로 의율돼 있다"며 "김씨의 횡령 혐의와 관련성이 매우 깊다"고 설명했다.
이날 일각에서는 김 여사가 2023년 3월 국민의힘 당대표 선거를 앞두고 특정 후보를 밀기 위해 통일교 측에 '집단 입당'을 요청한 당사자라는 의혹이 제기됐다.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은 윤영호 통일교 전 세계본부장의 공소장에 한학자 총재가 2019년 10월께부터 자신의 뜻에 따라 국가가 운영돼야 한다는 '정교일치' 이념을 강조했다고 적었다.
통일교가 이를 위해 '신아프리카 안착을 위한 각종 행사', '제5유엔 사무국 한국 유치', '캄보디아 메콩피스파크 사업' 등을 추진했고 이런 지원을 대가로 윤석열 전 대통령 측에 여러 현안을 청탁한 것으로 보고 있다.
특검은 이에 대해 "수사와 관련된 정황은 확인해드리기 어렵다"며 언급을 피했다.
김 여사 금품수수 의혹에 대해 공여자로 지목된 인물은 이 회장, 박 전 비서실장을 비롯해 서성빈 로봇개 납품업체 대표, 이배용 전 국가교육위원장 등이다. 특검은 이들의 신분에 대해 "일부는 피의자, 일부는 참고인 단계"라고 설명했다.
윤 전 대통령 조사 여부에 대해서는 "현재 기소 대상에서 제외된 상태지만, 특검 기간 내 수사 성과에 따라 기소 여부를 검토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의 2차 체포영장 집행 당시 상황 등 구체적 확인 요청에는 "적절치 않다"고 선을 그었다.
한편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중앙지법에서는 IMS모빌리티의 조영탁 대표와 모 이사, 민경민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대표의 구속영장 심사가 이뤄진다.
조 대표는 김 여사와의 친분을 내세워 각종 투자를 유치한 의혹을 받는다. 특검은 김예성씨가 설립에 관여한 IMS모빌리티에 대기업들이 184억원을 투자한 배경에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고 본다. 투자금은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가 운용한 사모펀드를 통해 투입됐고, 자금 중 일부가 김 여사 측에 흘러갔다고 의심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