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소발자국은 원료채취, 생산, 유통, 폐기 등 공급망 전 과정의 탄소배출량을 산정한 값이다. 탄소발자국 상호인정은 국내에서 검증받은 탄소발자국을 해외에서도 유효하게 인정받는 것을 의미한다. 해외로부터 탄소발자국 정보를 요구받은 수출기업은 상호인정을 통해 국내에서 검증받은 탄소발자국을 해외에서도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관련 비용과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최근 EU가 '배터리 규정', '에코디자인 규정' 등 제품 탄소발자국 신고를 의무화하는 규제를 도입 중이다. 이에 유럽 국가와의 상호인정은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탄소규제 대응력 강화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는게 산업부의 관측이다.
국내에서 국제통용 발자국 검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은 지난해 11월 이탈리아의 CFI(Carbon Footprint Italy)와 상호인정협정을 체결한 바 있다. 이를 통해 한 국가에서 탄소발자국을 검증받은 기업이 추가적인 검증절차 없이 소정의 수수료만 지불하면 상대 국가의 탄소발자국 라벨도 사용할 수 있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