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지하철 역사 내 교통카드 충전 시 신용카드·스마트폰 결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서울교통공사는 오는 6일부터 25개 주요 역에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설치하고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고 2일 밝혔다.
신형 키오스크는 기존 현금 위주 결제 방식을 개선해 신용카드와 스마트폰 간편결제(카카오페이·네이버페이·토스페이 등)를 지원한다. 신용카드 결제 방식이 우선 적용되고 간편결제 기능은 오는 연말 순차 도입한다.
이를 통해 시민들은 1회권·정기권·기후동행카드 충전은 물론 교통카드 구입, 환불, 권종 변경까지 한층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전망이다. 다만 선불카드 충전은 결제 후 현금으로 바꾸는 일명 ‘카드깡’ 등 오남용 여지가 남아 있어 기존처럼 현금 결제만 가능하다.
공사는 시범 운영을 거쳐 내년까지 1~8호선 273개 역사에 신형 키오스크 440대를 순차적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대규모 인파가 몰리는 축제, 집회 현장에는 이동형 결제 전용 키오스크 15대도 함께 배치한다.
이번 개선은 지난 2009년 현금 전용 기기가 도입된 이후 16년 만의 변화다. 특히 신형 키오스크는 장애인차별금지법 기준을 반영해 교통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사용자 화면과 조작부 높이를 낮추고 점자 키패드와 이어폰 단자 기능도 추가했다.
마해근 서울교통공사 영업본부장은 “이용 시민의 현금 소지 불편과 교통약자의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해 신형 교통카드 키오스크를 도입키로 했다”며 “앞으로도 시민 눈높이에 맞춘 혁신을 통해 안전하고 편리한 지하철 이용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