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변화 속 금융 불확실성 확대…국제공조·협력이 해법"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9월 3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5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기획재정부
이형일 기획재정부 차관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더 플라자 호텔에서 열린 '2025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에 참석해 개회사를 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세계 금융질서가 구조적 전환과 불확실성 심화라는 이중 도전에 직면하면서 글로벌 금융전문가들이 국제사회의 상호 신뢰와 협력을 바탕으로 한 공조가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기획재정부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은 3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구조변화와 불확실성 환경에서의 금융안정성 강화와 회복력 제고’를 주제로 '2025년 G20 글로벌 금융안정 컨퍼런스'를 공동 개최했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주요 인사 300여명이 참석해 글로벌 금융 시스템이 직면한 도전과 정책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이형일 기재부 제1차관은 개회사에서 “현재 글로벌 금융 환경은 단기적 불확실성과 구조적 변화가 동시에 증폭되는 전환기에 있다”며 “변화의 신호를 면밀히 점검하고, 대응 원칙을 세우며 국제적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동철 KDI 원장은 “복합적 금융·경제 도전은 어느 한 나라가 독자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사안”이라며,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

기조연설을 맡은 모리스 옵스펠드 피터슨 국제경제연구소 선임연구위원은 “교역 및 금융의 탈미국화로 달러의 위상이 약화되고 있다”며 “세계경제의 안정적 질서 유지를 위해서는 국제사회의 공조 강화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마커스 브루너마이어 프린스턴대 교수는 “강대국 중심의 블록화된 체제로 전환이 진행되고 있다”며 “글로벌 안전자산 공급 다변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션별 논의에 현 금융시스템의 위험 요인과 대응책이 주제로 다뤄졌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글로벌 무역 질서와 투자 불확실성이 세계경제에 미칠 충격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무역정책 불확실성이 해외직접투자 변동성을 키우고, 이는 결국 세계경제의 불안정성을 확대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각국은 구조개혁과 재정정책을 통해 충격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비은행금융기관(NBFI)의 역할 확대, 인공지능(AI)과 스테이블코인 같은 신기술 확산이 불러올 금융 리스크가 논의 테이블에 올랐다. 참석자들은 디지털 금융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면서도, 새로운 기술이 예상치 못한 시스템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경계하며 명확한 규제와 국제적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국가부채 누적 문제가 집중 조명됐다. 글로벌 부채 수준의 상승이 금융안정성을 위협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화와 고금리 환경 속에서 개발도상국의 부채 취약성이 심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참석자들은 G20이 마련한 채무재조정 매커니즘(Common Framework)의 실질적 진전을 통해 부채 문제의 지속 가능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언했다.

기재부는 이번 컨퍼런스에서 논의된 정책적 제언을 심도 있게 검토하고, 한국이 공동의장국을 맡고 있는 G20 국제금융체제 실무그룹(IFA WG)과 오는 10월 개최 예정인 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반영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위기에 강한 국제금융체제 구축'이라는 목표를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글로벌 금융 안정성 제고에 기여하겠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