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노동법 상담은 임금, 근로시간, 실업급여에 관해 24시간 맞춤형으로 상담하는 서비스로 누구나 홈페이지에 접속해 사용할 수 있다. 앞서 노동부는 지난해 마음AI와 함께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초거대 AI 서비스 개발 지원 사업'에 참여해 AI 노동법 상담 시제품을 개발한 바 있다.
올해 3월에는 한국공인노무사회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후 공인노무사 173명으로 구성된 지원단의 전문적인 감수를 통해 답변의 정확도를 높였다. 또 외국인 노동자를 위해 위해 32개 언어를 지원하도록 개선했다. 이와 함께 당근마켓에서 운영하는 구인구직 매칭 서비스인 '당근알바'를 사용하는 구직자와 영세사업주가 당근 앱에서 AI 노동법 상담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
근로감독 AI 비서는 사건자료 분석, 조사 질문지 구성, 수사보고서 작성 등 노동사건 처리 전반을 생성형 AI로 보조하는 서비스다. 챗지피티 등 외부 서버에서 운영되는 생성형 AI과 달리 노동부가 삼성SDS와 함께 설계한 전용 클라우드 내에서만 작동해 노동사건 수사와 같이 보안성과 안정성이 요구되는 작업을 개인정보 유출 우려 없이 수행할 수 있다.
김정욱 삼성SDS 상무는 AI 에이전트를 활용한 작업환경 위험성 평가와 작업계획서 작성, 백병한 당근마켓 당근알바 총괄리드는 구인구직에서 AI 서비스의 체감도를 높이기 위한 플랫폼 기업의 노력을 전했다. 미국 팔란티어 테크놀로지스와의 협동 프로젝트로 인지도가 높은 변우철 KT 본부장은 데이터 기반의 건설 산재 예방 사례를 발표했다.
김영훈 노동부 장관은 "노동부의 AX는 인력과 예산의 한계를 넘어 일하는 모든 사람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과기정통부, AI 전문기업, 한국공인노무사회 등과 적극 협업해 AX를 가속화해 일하는 모든 사람이 존중받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