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던 ‘백사마을’이 철거 작업 막바지에 들어섰다. 16년 동안 지지부진했지만 기존 ‘주거보전용지’를 ‘공공주택용지’로 변경하는 등 임대·분양 단지를 통합 설계한 후 인센티브로 사업성을 개선한 덕에 올해 말 착공을 바라보게 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9·7공급 대책을 겨냥해 서울시 차원 부동산 공급 대책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다.
오 시장은 9일 오전 노원구 중계동 104번지 일대를 방문해 백사마을 철거 상황을 점검한 후 정비사업 활성화 방안을 강조했다,
백사마을은 임대·분양 단지의 소셜믹스(통합 설계) 결정 후 △용도지역 상향 △용적률 상향 △35층 룰 폐지 등의 인센티브를 통해 사업성을 개선했다. 741가구를 추가 확보했고, 용적률은 기존 196%에서 222%로 상향돼 최고 35층까지 짓는다. 지난 8월 정비계획 수정안이 확정돼, 최고 35층, 공동주택 26개동, 3178가구(임대 565가구 포함) 규모의 대단지로 탈바꿈 할 계획이다.
백사마을은 1960년대 도심 개발로 청계천·영등포 등에서 살던 철거민 1100여 명이 불암산 자락에 정착하면서 형성된 곳이다. 2009년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된 이후 2012년 국내 최초로 주거지보전사업으로 추진됐었다. 하지만 분양주택은 공공주택용지로, 임대주택은 주거보전용지로 분리 개발하는 과정에서 임대주택 단지에 과도한 공사비가 투입되는 등 사업성 문제 등으로 16년간 답보상태를 이어갔었다.
다만 기존 동네의 원형을 보전해야 했던 주거보전용지를 공공주택용지로 변경하면서 전면 철거가 가능해졌다. 지난 5월 철거를 시작해 현재 전체 1150동 중 611동의 철거가 완료됐다. 시는 올해 말까지 철거를 마무리 짓고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입주는 2029년 예정이다.

시는 지역 특성상 무허가 건물에 살던 세입자에 대해선 이주 시 인근 임대주택에 거주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준공 후 임대주택을 통한 재정착도 지원할 계획이다.
이날 원주민이라고 주장하는 한 여성이 오 시장 앞을 막아서고 입주권을 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그는 30년 넘게 토지면적 35㎡의 건축물을 소유하고 있었지만 입주권을 받지 못했다고 주장하면서 시와 SH에 문의했으나 해결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민원인의 주장에 따르면 그는 무허가 건축물 거주자로 입주권 대상에 포함되지 못한 것으로 파악된다.
서울시 조례상 1989년 1월24일 이전에 완공된 집은 ‘특정 무허가건축물’로 인정돼 입주권이 나오지만, 백사마을은 2011년 조례가 만들어지기 전 기준인 1981년 12월 31일 이전 기준을 적용했다. 오 시장은 “재정착률이 93% 가까이 되는데 아주 예외적인 경우인 것으로 보인다”며 시 주거정비과와 SH가 구제 방안을 살펴보겠다고 했다.
한편, 9·7공급 대책에 대해 오 시장은 “부동산 가격 상승을 견인하는 곳인 서울 (집값에) 큰 변화가 있는 조치가 발표된 것 같지 않다”며 “집값 급등의 진원지 역할을 하는 강남 등에 대한 공급 물량을 획기적으로 늘리는 등의 조치가 없다면 주택시장은 크게 안정화되기 어렵다”고 평했다.
그러면서 “주택 부족 현상으로 부동산 가격이 오르는 국면에서 서울, 특히 강남 지역에 신규 주택을 많이 빠르게 공급할 것인가에 관심이 클 것”이라며 “그 점에 초점을 맞춰 저희(서울시)가 준비하고 있는 작업 등을 바탕으로 실현 가능한 그런 로드맵을 조만간 설명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