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메프 파산 수순…티메프 피해자단체 "구영배 전 대표 엄벌 내려달라"

10일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해결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소통하는 대통령님 무시된 고통 이제는 끝내주세요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지난 7월 국회의원회관 제1소회의실에서 열린 '티메프(티몬·위메프) 사태 해결을 위한 정책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소통하는 대통령님, 무시된 고통 이제는 끝내주세요'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홍승완 기자]

서울회생법원이 9일 위메프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폐지를 결정하면서 위메프가 파산 수순을 밟자 티메프(티몬·위메프) 피해자단체가 구영배 전 큐텐그룹 대표의 엄벌을 요구했다.

티메프 피해자들로 구성된 검은우산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성명을 통해 "40만 피해자의 마지막 희망을 무너뜨리고, 사실상의 파산을 선고한 것"이라며 "티몬 사태에서 목도했던 0.75% 변제율조차 사치가 됐다. 이제는 단 한 푼도 돌려받지 못하는 ‘변제율 0%’의 절망뿐"이라고 말했다.

비대위는 이번 사태를 경영 실패가 아닌 경영진의 범죄 행위로 규정했다. 비대위는 구 전 대표와 경영진이 사기·배임·횡령을 저질렀다고 주장하며 "법원도 이미 476억원 규모 손해배상 책임을 인정한 바 있다. 피해자들이 단순 채권자가 아니라 사기 피해자임을 명시했다"고 설명했다.

비대위는 구체적인 요구사항도 제시했다. 비대위는 "사법부가 구 전 대표 등 책임자들에게 법정 최고형을 선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정부와 국회가 피해자를 위한 특별 구제 기금을 조성하고,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을 통해 피해 회복과 재발 방지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정부가 소상공인과 소비자들을 위한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비대위는 "위메프 회생 폐지가 사태의 끝이 될 수는 없다"며 "40만 피해자들은 더 이상 물러설 곳이 없으며, 피해가 온전히 회복되고 책임자들이 단죄 받는 날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