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방산, EU '무기 공구' 참여 의향서 제출… 245조 시장 노린다

  • EU 집행위, 韓 의향서 검토 후 양자 협정 협상 개시 여부 결정

  • 협정 체결 시 '제3국 부품 35% 제한' 해제… 英·加도 참여 의향 밝혀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전차대대TF K1A2전차가 6일 경기 포천 소재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전차포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육군
육군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전차대대TF K1A2전차가 6일 경기 포천 소재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전차포 사격을 하고 있다. [사진=육군]
한국이 1500억 유로(약 245조원) 규모의 유럽연합(EU)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13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한국 정부는 최근 EU 집행위원회에 무기 공동구매 프로그램 '세이프'(SAFE·Security Action For Europe)에 참여를 희망한다는 공식 의향서(formal request)를 제출했다. 의향서 제출은 참여 의사를 공식적으로 표명하는 첫 단계 절차에 해당한다.
 
세이프는 집행위가 EU 회원국들의 '재무장'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마련한 정책으로, 무기를 공동구매하는 회원국에 낮은 금리로 대출금을 지원한다. 내년 초부터 집행된다.
 
원칙적으로 대출금으로 구매하는 무기의 제3국산 부품 비율이 35%를 넘을 수 없지만 예외 규정이 있다. 한국처럼 EU와 안보·방위 파트너십을 체결했거나 EU 가입 후보국인 제3국의 경우 집행위와 별도 양자 협정을 체결하면 35% 기준을 적용받지 않게 된다. EU 회원국들의 공동구매 시 한국 방산업체 수혜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는 셈이다.
 
집행위는 한국의 의향서를 검토한 뒤 한국과 양자 협정 협상 개시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다만 양자협정 체결 요건은 다소 까다롭다. 한국 등 제3국 방산업체 중에서도 유럽 내에 생산시설을 둔 경우로 국한되며, 참여하는 국가의 재정 기여 등 조건이 붙는다. 아울러 제3국이 참여하려면 EU 및 유럽경제지역(EEA), 유럽자유무역연합체(EFTA) 권역 국가 혹은 우크라이나 중 최소 2개 국가와 함께 '공동구매 팀'을 반드시 구성해야 한다.
 
이에 이미 대규모 방산 계약을 체결했고 EU 세이프 대출금을 신청한 상태인 폴란드, 루마니아 등과의 협력 가능성이 제기된다. 집행위가 최근 발표한 대출금 배분 계획에 따르면 폴란드가 437억3400만 유로(약 71조원)로 가장 큰 금액을 배정받았다.

한국에 앞서 참여 의향을 밝힌 제3국으로는 영국, 캐나다가 있다. 집행위는 조만간 영국, 캐나다와도 양자협정 협상을 개시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