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선 식품산업협회장 "정부 물가안정 기조 이해하지만, 기업 대응엔 한계"

  • GMO 완전표시제·중대재해 등 업계 현안 입장

  • ANUGA 주빈국 참가 K푸드 세계화 전환점 강조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이 15일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이 15일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정부의 물가 안정 기조는 이해하지만 기업 대응엔 한계가 있다."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은 15일 서울 방배동 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하며 협회의 역할을 '정부와 업계 사이 소통창구'로 규정했다.

그는 "원가 절감을 통한 생산성 제고 외에는 물가를 낮추기 위해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이 많지 않다"며 "정부가 소비자 물가를 중시하는 건 충분히 공감하지만, 업계의 대응 여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국제 원재료 가격 불안정과 환율, 인건비 상승까지 겹치면서 기업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업계는 공급망 다변화와 공동구매 등 자구책을 찾고 있다"고 덧붙였다. 박 회장은 "협회도 주요 원재료에 대한 할당관세 품목을 추가 발굴해 기업 부담을 덜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는 박 회장이 지난 7월 31일 제23대 회장으로 취임한 이후 기자들과 공식적으로 만나는 첫 자리였다. 그는 공정거래 확립·ESG 경영·글로벌 진출 등 협회의 향후 사업 방향을 소개하는 한편, 물가 안정과 원료 수급·중대재해·GMO 표시제 등 업계가 직면한 주요 현안을 짚었다.

대통령이 강조하는 중대재해 근절도 이날 간담회의 화두로 등장했다. 최근 SPC·아워홈 등에서 발생한 사고와 관련한 질문에 박 회장은 "근본적인 원인은 CEO와 조직의 마인드 문제"라며 "사고를 방지하려면 법적 기준을 충족하는 데 그칠 게 아니라, 실제 리스크를 인지하고 선제적으로 개선하려는 문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안전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문화의 문제"라고 말했다.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이 15일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삿말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박진선 한국식품산업협회장이 15일 서울 방배동 한국식품산업협회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인삿말을 하고 있다. [사진=김현아 기자]

박 회장은 최근 국회에서 논의 중인 GMO 완전표시제에 대해 "GMO 식품이 건강에 문제가 없다는 건 식약처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소비자 불안이 있어 '알 권리'라는 명분으로 완전표시제를 주장하는 것"이라며 "이는 수입 원료 의존도가 높은 국내 현실을 무시한 정책"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미국산 콩은 대부분 GMO인데, Non-GMO는 인도산 외에는 구하기 어렵다. 가격은 5배가량 비싸다"며 "완전표시제를 도입하면 결국 기업은 원료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소비자 가격이 오르게 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해외 수입 제품은 실제 GMO 사용 여부를 확인할 방법도 없어 국내 기업이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며 제도의 실효성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K-푸드 열풍 속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도 빼놓지 않았다. 박 회장은 "지난해 프랑스 국제 식품박람회(SIAL)에 민간 차원에서 처음 참여했고, 그 성과로 올해는 세계 최대 식품박람회인 독일 ANUGA에 주빈국으로 참가하게 됐다"며 "한국 식품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고, K-푸드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장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협회 운영이 대기업 위주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현재 협회 이사회의 80% 이상이 대기업이지만, 중소기업 참여를 확대해 다양한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바꿔 나가겠다"며 "작은 기업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찾아 맞춤형 지원을 설계하고, 협회가 그 가교 역할을 하겠다"고 답했다.

끝으로 박 회장은 "앞으로 식품산업은 단순히 안전 규제에만 매몰되지 않고, 식생활 개선과 글로벌 확장을 위한 산업으로 나아가야 한다"며 "협회가 각 기업이 혼자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를 함께 풀어가는 플랫폼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