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세 무뇨스 현대차 사장이 조속한 한미 관세 합의로 자동차 관세가 15%로 낮아지길 희망했다.
무뇨스 사장은 1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 '더 셰드'에서 개최된 '2025 최고경영자(CEO) 인베스터 데이'에 참석해 현안 및 중장기 전략을 공개했다.
이날 무뇨스 사장은 미국 관세의 재무 영향을 묻는 질문에 "오늘 제공한 실적 가이던스는 25% 관세율을 기준으로 한 것"이라면서 "관세율이 15%로 내린다면 기존 가이던스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로 근접했을 것"이라고 답했다.
앞서 한국은 지난 7월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하면서, 자동차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인하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그러나 관세 협상 후속 협의가 난항을 겪음에 따라 여전히 25% 관세를 적용받고 있다. 더욱이 자동차 산업 경쟁국인 일본은 미국과 관세 협상 서명 절차를 마치고, 지난 16일부터 15% 관세를 적용받는 중이라, 국내 자동차 업계를 대표하는 현대차로서는 미국 시장 가격 경쟁력 부문에서 아쉬움이 있는 상황이다.
아울러 무뇨스 사장은 최근 미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합작공장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 300여명 등이 대규모 체포돼 구금됐다가 풀려난 사건과 관련해 "구금됐던 근로자들 중 다수가 현대차 운영을 지원하는 조지아 공장에서 첨단 배터리 생산기술의 최종 보정 및 테스트 작업을 담당하고 있었따"며 "한미가 단기출장, 특히 전문 기술 인력에 대한 상호 유익한 해결책을 도출하길 바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억류된 것으로 협력업체 직원들과 가족들이 겪었을 스트레스와 어려움을 이해한다. 그들이 안전하게 한국으로 돌아온 것에 안도하고 있다"며 "현대차는 지난 40년간 미국 사회의 일부였다. 조지아주에선 15년 이상 사업을 운영해왔다. 조지아주 신규 공장은 조지아주 역사상 최대 규모의 경제 개발 프로젝트로, 수천 가구에 장기적인 경제적 혜택을 제공하면서 지역 변화에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뿐 아니라 현대차는 이날 행사에서 향후 5년간 77조3000억원을 투자해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관세 등 복합 위기를 돌파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2030년 글로벌 판매 목표를 555만대로 잡았다며, 60%에 해당하는 330만대를 전기차(EV), 하이브리드차(HEV) 등 친환경차로 채우겠다는 구상도 설명했다.
한편 현대차가 해외에서 애널리스트와 기관투자자 등을 상대로 인베스트 데이를 연 것은 이번이 최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