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5년 동안 민간 건설사에서 산업재해로 승인된 사례가 2만건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13건꼴로 산재가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사망자도 210명에 달했다.
20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홍철 의원은 근로복지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6월까지 민간 건설사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승인 건수는 총 2만94건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사망자는 210명, 부상자는 1만9884명이었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21년에는 2890건이었고, 2022년에는 3633건으로 늘었다. 2023년에는 4862건, 2024년에는 5863건으로 해마다 증가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에도 이미 2846건이 발생했다.
2024년까지 4년 연속 증가했고, 올해 역시 상반기만으로도 2800건이 넘는 산재가 접수되면서 비슷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근로복지공단이 집계한 산재 승인 사례 중에는 건설현장에서 일어난 사고와 질병이 대부분이었지만, 출퇴근 도중 등 현장이 아닌 장소에서 발생한 재해도 약 5% 포함됐다.
같은 기간 동안 산재가 가장 많이 발생한 건설사는 대우건설로 2514건을 기록했다. 뒤이어 현대건설이 1875건, GS건설 1705건, 한화건설 1574건, 롯데건설 1372건, 삼성물산 1270건, SK에코플랜트 1221건, 포스코이엔씨 1158건, 현대엔지니어링 1064건, DL이앤씨 935건 순이었다.
민 의원은 사고가 반복되는 상황을 지적하며 “건설현장의 사고를 줄이려면 예방에 집중한 제도 보완이 필요하고, 반복적인 재해를 일으키는 기업에 대한 강력한 제재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