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고양시에 따르면 현재 복지재단은 46개 지방자치단체에서 운영 중이다. 경기 수원·성남·파주시, 인천 남동구, 광주 광산구, 충남 청양군, 울산 울주군 등 7개 지자체도 재단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복지재단은 유연하고 전략적인 정책 기획, 효율적인 예산 관리, 복지서비스 중복·누락 해소, 지역복지 대응력 강화 등 다층적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복지 확대를 목표로 정책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높이는 데 방점이 찍혀 있다.
2022년 고양시는 노인비율이 14%를 넘어서며 고령사회로 진입했다. 올해 7월 말에는 시 노인인구가 19만1771명으로 전체 인구 중 18.1%를 차지했다. ‘고양특례시 고령자 생산지표’에 따르면 2028년에는 노인인구 비율이 20.6%에 이르러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사회복지 대상자도 6월 말 기준 44만6461명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중 가장 많았다.
고양시 사회복지시설은 경기도 내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지만 시설 간 서비스 질과 운영 역량 편차가 크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고양시 인구 구조 측면에서도 은퇴한 1차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 중 만 65세 미만인 1961~1963년생 5만3636명(지난 7월 말 기준)이 3년 내로 고령층에 진입하게 되는 등 복지 대상자 증가가 가속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고양시는 사회복지 예산을 늘리며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발을 맞추고 있다. 올해 고양시 사회복지예산은 1조4658억원으로 전체 예산 3조3405억원 중 43.8%를 차지한다.
이동환 고양시장은 “108만 대도시에 걸맞은 합리적 복지체계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급변하는 사회와 복지수요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민복지재단을 설립해 시민들이 체감하는 맞춤형 복지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