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곰의 마을 출몰과 인명 피해가 급증하고 있는 혼슈 북부 아키타현에 5일부터 자위대를 파견해 퇴치 활동을 지원하기로 했다. 곰 피해만으로 자위대가 투입되는 것은 극히 이례적인 사례로, 올해 일본 전역에서 보고된 곰 출몰 및 공격 건수가 역대 최대 수준을 기록한 데 따른 조치다.
교도통신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육상자위대는 이날 오후 아키타현 북부 가즈노시와 협정을 체결하고 현장 활동을 시작한다. 파견되는 대원은 아키타시에 주둔한 육상자위대 아키타주둔지 소속 인원으로, 곰을 직접 사살하는 임무가 아니라 대형 덫 설치, 포획 개체 이송 등 후방 지원 역할을 맡는다.
이번 조치는 지난달 28일 스즈키 겐타 아키타현 지사가 방위성을 방문해 자위대 파견을 공식 요청한 것에 따른 것이다. 스즈키 지사는 "현지 행정력만으로는 대응이 한계에 이르렀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환경성의 조사에 따르면 올해 곰 공격으로 인한 사망자는 지난달 27일 기준 12명으로 통계 집계 이후 최다치다. 이전 최고였던 2023년 6명의 두 배에 달한다. 아키타현에서만 올해 4명이 숨지고 50명 이상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됐다. 아키타시에서는 4일 새벽에도 신문을 배달하던 77세 남성이 곰의 습격을 받아 얼굴과 손 등을 다쳤다.
올해 4월~9월 곰 출몰 신고 건수는 2만792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31.3% 증가했다. 2009년 집계 개시 이후 최대치다. 같은 기간 포획된 곰도 6063마리로 역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같은 배경에는 숲에 있는 곰 먹이 부족이 자리 잡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실제로 도토리 등 주요 먹이 열매의 흉년, 곰 개체 수 장기 증가 등이 겹쳤다는 평가가 많다.
곰 관련 피해가 사회 문제화되면서 일본 정부는 지난달 30일, 기존의 관계부처 연락 회의를 각료회의급으로 격상해 대책 논의를 진행했다.
한편 자위대가 자연재해 외의 사유로 동물 대응에 투입된 사례는 지금까지 거의 없다. 방위성 관계자는 "이번 투입은 '국민 생명 보호' 관점에서의 예외적 조치"라며 "추가 지역 지원 여부는 지자체 준비 상황에 따라 판단된다"고 말했다. 아키타현 외 다른 북부 현에서도 파견 요구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하지만 곰 개체 수 및 서식지 이동과 기후 요인까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어 이번 조치는 단기 대응책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일본 정부는 연내 추가 방지책과 지자체 지원책을 검토할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