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올해 5월 신협중앙회 소속 강원도 소재 조합에 대한 검사에 착수했다. 이는 신협 지역 조합이 발급한 가상계좌 상당수가 불법 도박 사이트의 자금 창구로 악용됐다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한 조치다. 각 조합은 PG사(결제대행사)와 계약을 맺어 가맹점들이 손쉽게 가상계좌를 발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다수의 도박 사이트가 이를 악용하고 있다. 일부 도박 사이트는 가맹점으로 위장해 PG사와 계약을 맺은 뒤 가상계좌를 발급받았다. 도박 이용자로부터 이 계좌에 돈을 받은 후 운영자 실계좌로 옮겨가는 방식으로 자금을 조달한 것이다. 실제 대구 지역 2개 신협에서도 8만개 계좌를 통해 1조원 이상의 도박 자금이 움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조합뿐만 아니라 중앙회의 관리·감독도 부실했다고 보고 있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은 "영세 조합은 단 한 건의 횡령이나 부당 대출 사고로도 존립이 흔들릴 수 있다"며 "중앙회 차원의 통제를 강화하고 전산 시스템 고도화를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중앙회에 대한 점검도 이어지고 있다. 농협중앙회 검사는 지난 상반기 마무리됐다. 다음 달에는 수협중앙회를 대상으로 자금세탁방지(AML)를 포함한 전반적인 검사에 돌입할 계획이다. 앞서 신협중앙회에서 내부통제 리스크가 발생한 만큼, 관련 사안도 함께 살펴볼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중앙회는 금융정보분석원(FIU)으로부터 검사권과 일부 제재권을 위탁받았으므로, 검사 역량도 중점적으로 평가할 것으로 보인다. 신협중앙회 자금세탁방지(AML) 인력은 11명, 수협중앙회는 3명, 농협중앙회는 5명이다. 일각에서는 적은 전문가 수로 검사 수탁 기관으로서 한계가 있을 수 있다는 시각도 제기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