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 위원장은 이날 밤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에 “헌법에 기속(얽어매어 묶음)되는 대통령이면서 영구독재를 기도했던 내란 수괴 윤석열이 군대를 동원해 국회를 습격하고 포고령을 발동했다”며 “헌법상의 국민 기본권을 침탈해도 조 대법원장은 (당시에) 침묵했었다”고 꼬집었다.
또 “윤석열은 헌재에서 대통령은 고도의 통치행위를 할 수 있으니 비상대권이 있고 그런 상황과 필요성은 대통령만이 판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며 “완전 위헌적 주장인 것이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조 대법원장은) 법을 왕권 강화를 위해 쓰면 안 된다고 그때 윤석열을 향해 일갈했어야 했다”며 “조 대법원장의 세종대왕 끌어다 쓰기는 자기 죄를 덮기 위한 자다가 봉창 두드리는 소리다”고 비판했다.
앞서 조 대법원장은 지난 22일 대법원 국제행사에서 “세종대왕은 법을 왕권 강화를 위한 통치 수단이 아니라 백성들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 그들의 권리를 보장하는 규범적 토대로 삼으셨다”고 밝힌 바 있다.
정치권에선 이날 조 대법원장의 발언을 놓고 최근 민주당이 주도하는 사법개혁법안 추진을 우회적으로 비판했다고 보는 시각이 많다.
한편, 여당은 추 위원장 등 법사위 민주당 강경파 의원들이 주도한 ‘조희대 대법원장 청문회’를 개최를 두고 강경파와 당 지도부가 갈등을 빚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