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정부 AI 혁신 포럼] 경기도, 소버린 AI 플랫폼으로 '행정 대전환' 구상

  • 민·관 협력 기반 공공 AX·DX 추진

  • 도민 맞춤형 AI 서비스 확산 목표

김기병 경기도 AI 국장이 경기 소버린 AI 플랫폼 구축과 공공 ADDX 추진 방안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 20250929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김기병 경기도 AI 국장이 '경기 소버린 AI 플랫폼 구축과 공공 AD/DX 추진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2025.09.29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경기도가 독자적인 ‘소버린(Sovereign) AI 플랫폼’ 구축에 본격 착수했다. 인공지능(AI)을 기반으로 한 도민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민관 협력형 혁신 생태계 조성이 핵심 목표다.

김기병 경기도 AI국장은 29일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제1회 지방정부 AI 혁신 포럼에 참석해 ‘소버린 AI 플랫폼 구축과 공공 AX/DX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김 국장은 “AI는 이미 글로벌 현장에서 실무 도구로 자리 잡았다”며 “주요 AI 도구의 주간 이용자는 8억명을 넘어섰고 내년이면 10억명을 돌파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 조직 78%가 AI를 도입했고, 생성형 AI의 정기 사용률은 71%에 달한다”며 “맥킨지, 스탠퍼드 등 주요 연구기관도 AI를 창의력과 생산성을 초월하는 혁신 엔진으로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경기도는 이러한 흐름에 맞춰 행정 전반에 AI를 접목하기로 했다. 단순 행정업무를 넘어 복지·민원·법률 검토 등 생활 밀착형 서비스로 확대해 도민 체감도를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아울러 공공과 민간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플랫폼을 단계적으로 구현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보유 데이터를 표준화·체계화해 품질을 높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한다. 공공기관뿐 아니라 민간 기업에도 AI 앱 개발을 지원해 생태계를 확장하고 행정정보 공동 이용과 전자정부 시스템 연계도 추진할 계획이다.

김 국장은 “영국은 AI 코파일럿을 통해 연간 수천 명 분량의 업무를 절감했고, 네팔은 ‘나가릭 앱’을 통해 국민 생활 데이터를 통합했다”며 “경기도 역시 공공과 민간이 함께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플랫폼이 가동되면 경기도민은 간단한 대화창을 통해 복지 정책을 검색하거나 행정 서류 작성, 법률 검토 지원을 받을 수 있다. 예컨대 ‘고양시에 사는 53세 남성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을 묻는 즉시 맞춤형 답변과 신청 절차 안내까지 제공되는 방식이다.

경기도는 6월 사업 착수 보고를 시작으로 데이터 수집, UI·UX 설계, 안정성 검증, 사용자 피드백 과정을 거쳐 오는 11월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이후 ‘경기 특화 대규모언어모델(LLM)’을 구축해 행정서비스 전반에 적용하고, 2026년 이후에는 전국 지자체 확산과 수출형 플랫폼 개발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